[기억합니다] 고 정안업님께 올리는 아들의 글
1965년 둘째 누나 결혼식 때 6남매 가족 사진이다. 앞줄 오른쪽 셋째가 필자의 어머니 정안업님, 아버지는 병환으로 함께하지 못했다. 사진 김태평 주주통신원 제공
나도 모르게 입과 몸에서 저절로 나와 병든 남편·6남매 보살피며 시집살이
고달픔·슬픔·아픔도 실어 보내신듯
누님들 기억 따라 가사 적어보니 ‘먹먹’ 내 어머니, 정안업님께서 생전에 자주 부르시던 노래가 있었다. 나는 다른 무엇보다도 노래로 어머니를 기억한다. 1991년(72살)에 작고하셨으니 노래의 음률은 아련하고 가사도 가물가물하다. 70대 후반이 되신 누님들께 전화로 여쭈었더니, 수화기를 통해 나지막한 노래와 가사가 들려왔다. 누님들이 부르시는 노래와 함께 어머니의 모습도 안개처럼 뿌옇게 다가왔다. 어머니가 그리워질 때마다 떠오르는 것이 이 노래들이다. 이 노래들을 흥얼대다 보면 나도 모르게 우수에 젖고 마음과 가슴이 촉촉해진다. 노래는 조용하면서도 애잔하다. 누님들 말씀으로는 이 노래들 말고도 어머니는 많은 노래를 가르쳐 주셨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어렸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사내아이라 그랬을까, 배운 적이 없고 들은 기억만 어렴풋이 난다. 생각나는대로 가사를 적고 노래 제목은 임의적으로 붙여봤다. ‘기차는 떠나간다, 구슬 비를 헤치며 정든 땅 뒤에 두고 떠나는 임이여!/ 간다고 아주 가고 아주 간들 잊으랴 밤마다 꿈길 속에 울면서 살아요/ 임이여 술을 걸러 아픈 마음 달래라 공수래 공수거가 인생이 아니냐.’(‘기차는 떠나간다’) ‘강원도 산골짝은 들어 갈수록 깊어지고 우리네 부부 정은 살아갈수록 깊어진다/ 아리아리 스리스리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를 잘도 넘어 간다.’(‘강원도 산골짝’) ‘여보하고 부르면 여보하고 대답하네/ 우연히 엿본 여관 즐거운 표정/ 여보세요 날 보세요 왜 그래요/ 하늘은 푸른 하늘 우리들은 젊은이/ 날 좀 봐요 부르면 날 좀 봐요 대답하네./ 온천으로 신혼여행 정다운 풍경/ 날 좀 봐요 날 좀 봐요 뭘 그래요/ 바람은 맑은 바람 우리들은 젊은이/ 이리와요 부르면 이리와요 대답하네/ 온천으로 신혼여행 그리운 풍경 이리와요 저리와요 왜 그래요/ 다음은 말 못해 우리들은 젊은이’(‘여보하고 부르면’) 주로 바느질을 하시거나 홀로 앉아서 찬거리를 다듬으실 때 흥얼거리시던 노랫가락들이다. 노랫말에서처럼 구슬비가 내리는 날에는 증기기관차의 기적소리가 더욱 크게 들렸고, 어머니 노랫가락과 함께 칙칙폭폭 꽥~ 꽥~ 울리는 기적소리는 몸과 맘을 더욱 스산하게 하고 쓸쓸했다. 1950~60년대는 환경이 청정해서였는지 지금보다 기적소리가 더욱 컸고 멀리까지 들렸다. 우리 마을은 기찻길에서 직선거리로 약 3km 정도 떨어져 있었지만, 비가 올 때는 바로 옆에서 기차가 지나가는 것 같았다.
필자의 모친(정안업·1991년 작고)과 부친(김북술·1976년 작고)은 슬하에 2녀4남을 뒀다. 김태평 주주통신원 제공
1990년께 남원 광한루로 생전 마지막 나들이를 갔던 필자의 어머니, 고 정안업님. 사진 김태평 주주통신원 제공
원고를 기다립니다 <한겨레>가 어언 33살 청년기를 맞았습니다. 1988년 5월15일 창간에 힘과 뜻을 모아주었던 주주와 독자들도 세월만큼 나이를 먹었습니다. 새로 맺는 인연보다 떠나보내는 이들이 늘어나는 시절입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탓에 이별의 의식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억합니다’는 떠나는 이들에게 직접 전하지 못한 마지막 인사이자 소중한 추억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물론 가족, 친척, 지인, 이웃 누구에게나 추모의 글을 띄울 수 있습니다. 사진과 함께 전자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한겨레 주주통신원(mkyoung60@hanmail.net 또는 cshim777@gmail.com), 인물팀(Peop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