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친구들’ 출범의 숨은 주역 박미경 전태일재단 기획실장. 최성진 기자
지금껏 힘겹게 일하고 외롭게 투쟁했던 방송·미디어업계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도 ‘친구’가 생겼다. 방송 비정규 노동자와 노동·시민사회단체가 함께 꾸린 연대체 ‘미디어친구들’이 지난 15일 서울 마포구 상암문화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출범식을 가졌다. 지난해 9월 출범한 ‘방송작가친구들’이 방송작가의 불합리한 노동 조건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면, 미디어친구들은 방송 스태프를 비롯해 미디어업계에서 일하는 모든 비정규직으로 그 대상을 넓혔다. 방송국에서 직원처럼 일하면서도 직원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들의 불합리한 노동 현실을 바꿔내는 것이 미디어친구들의 핵심 목표다. 이 단체의 출범을 이끈 ‘숨은 주역’인 박미경 전태일재단 기획실장을 지난 17일 오후 서울 동대문역 근처 사무실에서 만났다.
박 실장이 미디어업계의 비정규 노동 문제를 파고든 계기는 2020년 6월 <문화방송>(MBC) 보도국에서 일하던 방송작가 두명의 해고 소식이었다. 당시 두 사람은 문화방송 아침뉴스 프로그램 <뉴스투데이> 작가로 일하다가 프로그램 개편과 함께 해고됐다. 박 실장은 방송작가유니온(전국언론노조 방송작가지부)을 통해 두 사람 중 한명을 만났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노동자성이 너무나 분명했어요. 매일 정해진 시간에 출퇴근하고 (사 쪽의) 업무 지시를 받아 원고를 썼고요. 또 한편으로는 언제 잘릴지 모르는 프리랜서라는 이유로 아버지가 돌아가셔도, 교통사고를 당해도 일을 했다고 하더라고요. 그런 절박한 마음으로 10년 가까이 일했는데 코너 폐지라는 이유로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은 거예요.”
그는 답답한 마음을 안고 재단 사무실로 돌아와 한석호 사무총장과 머리를 맞댔다. 그 자리에서 방송작가가 처한 불합리한 노동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과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민주노조 진영에 대한 아쉬움을 ‘마구 토로’했단다. 실행력이 강한 한 사무총장은 곧바로 방송작가유니온 집행부를 만났다. ‘방송사라는 거대 권력에 가로막힌 이들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개인들이 모인 연대체’, 방송작가친구들은 그렇게 탄생했다.
경남 마산 출신인 박 실장은 1995년부터 10년간 마산 문화방송 라디오에서 방송작가로 일했다. 1990년대 중반 경남 지역 라디오 청취자한테 큰 인기를 얻은 코너 ‘아구할매’가 그의 담당이었다. 그가 방송작가의 어려운 현실에 깊이 공감할 수 있었던 것도, 연대를 통해 방송 비정규직의 노동 조건 개선을 꾀하는 것도 그때 경험과 무관하지 않은 듯 싶었다.
‘미디어친구들’ 출범의 숨은 주역 박미경 전태일재단 기획실장. 최성진 기자
“당시 ‘담당 피디(PD)와 아나운서, 엔지니어, 방송작가가 모여서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왜 방송작가는 프리랜서일까’ 하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동료 작가가 정말 얼마 안 되는 원고료를 받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방송국에 나와서 일을 해야 한다는 요구를 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이건 말이 안 된다, 우리 모두의 문제다’ 하는 생각이 들어 나서게 되었어요.”
그는 전국여성노조에 가입한 뒤 마산 문화방송 쪽을 상대로 원고료 인상과 근로계약서 작성, 프로그램 개편 시 협의 등을 내걸고 단체교섭을 요구했다. 1999년 여름의 일이다. 사 쪽은 ‘당신들은 노동자가 아니다’란 이유로 교섭에 나서지 않았다. 노동자성을 인정받으려고 법정 투쟁도 벌였으나 2003년 11월 서울고등법원에서 패소했다.
방송작가의 근로자성을 두고 지방노동위원회와 중앙노동위원회, 법원을 오가며 4년간 사 쪽과 다툴 때 그의 담당 피디는 알게 모르게 많은 도움을 줬다. 물론 그 역시 방송국 소속 피디로서 한계는 분명했다. “방송독립과 언론자유의 가치를 잘 아는 분이었어요. 자신과 함께 일하는 프리랜서 방송작가, 스태프의 처우나 노동 조건을 개선하려고도 많이 노력했지만 아무리 선한 사람이라도 그 자리에서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잖아요.”
지난해 9월에 꾸린 방송작가친구들을 미디어친구들로 확대·개편한 이유도 결국 ‘힘을 함께 모으자’는 취지다. 방송국만 해도 피디와 아나운서, 작가는 물론 수많은 기술 인력까지 한데 모여 일하는 만큼 방송국 내부의 불공정한 노동 환경을 개선하려면 방송작가만이 아니라 다양한 직종, 다양한 개성의 노동이 횡적으로 연대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방송 비정규 노동자와 노동·시민사회단체가 함께 꾸린 연대체 ‘미디어친구들’이 지난 15일 서울 마포구 상암문화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전태일재단 제공
미디어친구들은 비정규직 고용에 무감각한 미디어업계에 과연 의미 있는 메시지를 던질 수 있을까. “미디어친구들 출범은 좁게 보면 비정규 노동자를 위한 자구 노력의 일환이겠지만, 넓게 보면 미디어 산업 구조의 혁신과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미디어업계가 그 일이 좋아서 뛰어드는 젊은이를 쓰고 버리는 행태를 반복하는 구조를 버리지 못한다면 좋은 콘텐츠를 생산하는 건 지속 가능하지 않아요.”
방송 비정규 노동자를 위한 노동권과 미디어산업의 지속 가능성 확보. 이는 1970년 봉제공장 노동자로서 노동권 확보를 위해 헌신한 동시에 봉제산업의 발전을 함께 꿈꾼 전태일의 목표와 다르지 않다. 그는 미디어친구들을 통해 ‘노동이 뒷받침하지 않는 산업이란 모래성일 수밖에 없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미디어친구들은 매주 수요일 낮 12시 서울 상암동과 목동, 여의도 등 방송 노동자가 많이 모이는 곳을 찾아가 ‘미디어노동, 제대로 캠페인’을 벌일 예정이다. 이번 릴레이 캠페인 기한은 ‘방송 비정규 노동자의 노동 조건 개선에 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