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로 ‘디지털 뉴스 유통구조 개선 방안’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언론재단 제공
공공 부문이 설립·운영을 지원하고 개별 언론사가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 구축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언론사 수익성 악화와 저널리즘의 질적 하락 등 포털을 통한 뉴스 유통의 폐해를 줄이면서도 포털에 대한 규제 중심의 미디어 정책이 갖는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다.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은 1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디지털 뉴스 유통구조 개선 방안’ 세미나를 열어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에 관한 전문가 포럼 논의 결과를 중간 보고 형식으로 발표했다. 지난 2월 출범한 이 포럼에는 언론재단과 한국신문협회·한국방송협회 등 언론단체가 추천한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공동 뉴스포털 연구를 맡고 있는 오세욱 언론재단 책임연구위원은 이날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의 가능성 검토’ 발제를 통해 △공동 뉴스포털의 기사 제공 방식 및 기사 배열 방안 △언론사의 참여 동인과 유인 방안 △이용자의 참여 동인 및 유인 방안 등을 제시했다.
먼저 오 연구위원은 기사 제공 방식과 관련해 보고서에서 “참여 언론사의 전체 기사 목록은 언론사 웹사이트로 최종 연결되는 아웃링크 방식을 원칙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용자의 편의와 아웃링크 전환에 필요한 각 언론사의 준비 기간 등을 고려해 일정 기간 인링크 제공 방식을 함께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오 연구위원은 덧붙였다. 아웃링크란 포털에서 기사를 클릭하면 해당 기사를 제공한 언론사의 누리집으로 이동해 기사를 보는 방식을 뜻한다.
기사 배열은 사람이나 기계가 개입하지 않는 편집을 원칙으로 하되, 산불이나 전염병 발발 등 국가적 재난과 대형 이슈를 처리하기 위한 속보 편집 등에는 제한적으로 사람의 개입을 허용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사실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과거에도 있었다. 2009년 한국신문협회는 중앙일간지를 중심으로 13개사가 참여한 공동뉴스포털 추진팀을 꾸렸다. 포털 중심의 뉴스 소비를 신문사 쪽으로 끌어오기 위한 시도였다. 하지만 이런 시도는 유의미한 결과로 이어지지 못했다. 개별 언론사로선 포털에서 얻는 당장의 수익 감소를 감수하기 쉽지 않고 경쟁 언론사끼리 공동의 목소리를 내기도 쉽지 않은 탓이다.
이에 오 연구위원은 언론진흥기금 등을 재원으로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에 참여하는 언론사에 ‘기사 제공료’를 지급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모든 참여 언론사에 기본 기사 제공료를 지급하고, 각 언론사의 취재 역량과 잠재력을 반영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예산 범위 내에서 추가 제공료를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다만 여기에 필요한 예산 조달 방안 등은 아직 논의된 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도 저널리즘 품질을 고려한 선정 기준은 마련하되 기존 포털 제휴 모델과 달리 진입 문턱을 낮추는 방안, 참여 언론사별 최소 노출 보장 방안, 뉴스포털 내 광고 트래픽에 대한 수익 공유, 뉴스포털 이용자 데이터 전수 제공 등도 언론사를 유인할 ‘당근책’으로 제시됐다.
기존 포털에서 뉴스를 소비하는 데 익숙해진 이용자를 위해선 언론사별 노출 기사량 제한과 저널리즘 가치를 반영한 기사 제공, 선호하는 섹션별 운영을 통한 이용자 만족도 제고 등이 유인 방안으로 소개됐다.
다만 보고서는 이런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현실적 어려움이 따른다는 점도 지적했다. 기사 제공료를 지급한다고 하지만 일부 언론사는 여전히 적다고 느낄 수밖에 없다는 점, 기존 포털이 사라지지 않은 현실에서 이용자가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로 넘어올 것인지 장담할 수 없다는 점, 어떻게 적용하든 기사 배열의 공정성은 논란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 등이다.
이와 관련해 오 연구위원은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을 실제로 추진한다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조율 과정에서 과거와 같이 무산될 가능성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며 “따라서 정책 추진 과정은 정부와 언론계, 학계, 시민사회뿐만 아니라 기존 포털 사업자까지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의 장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