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있는 <티비에스>(TBS) 사옥. 티비에스 제공
서울시의회가 14일 <티비에스>(TBS)에 대한 서울시 지원을 폐지하는 내용의 조례안 논의에 본격적으로 나선 가운데, 언론단체가 조례안 처리에 앞서 티비에스의 공적 책무 등을 논의하기 위한 지역 공영방송 특별위원회 설치를 시의회에 거듭 촉구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은 이날 오후 1시 서울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티비에스 지원 폐지 조례안’(서울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폐지 조례안) 철회와 공영방송 특위 설치를 통한 사회적 논의를 제안했다.
이 단체는 회견에서 “(<김어준의 뉴스공장> 등과 관련해) 문제가 있었다면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민의 공론장 티비에스 문제를 풀어가는 순서”라며 “그런데 이런 노력을 지지하고 뒷받침해야 할 서울시의회는 프로그램이 마음에 안 든다고 덮어놓고 방송국 하나를 통째로 없애겠다는 무리한 시도를 실행에 옮기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서울시의회를 겨냥해 “지금 시의회가 해야 할 일은 티비에스 조례 폐지안의 상정이 아니라 특위 설치를 통해 시민들과 공론장에 나서는 일”이라며 “기후위기에 따른 재난 피해, 한없이 오르는 물가, 예측할 수 없는 부동산 시장까지 서울시민이 마주한 문제에 공영방송이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논의하자는 제안을 왜 거부하는가”라고 물었다.
앞서 언론노조는 티비에스 지원 폐지 조례안의 대안으로 공영방송 특위 설치를 요구해왔다. 티비에스가 수행해야 할 공적 책무와 그 이행 방식, 예산 편성 방식 등을 두고 시의회 산하에 특위를 꾸려 함께 논의해보자는 취지였으나, 서울시의회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국민의힘 쪽에서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의회는 14일부터 28일까지 여는 314회 임시회에서 티비에스 지원 폐지 조례안을 다룰 예정이다. 이 조례안 담당 상임위인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오는 20일 해당 안건을 상정한 뒤 26일 티비에스와 서울시 관계자, 외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공청회를 열어 조례안에 대한 여론 수렴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