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 10명 중 9명이 정부의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자협회(회장 정일용)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엠브레인에 맡겨 지난달 31일부터 4일까지 전국 언론사 기자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48.2%가 정부 방안에 대해 “절대 반대”, 42.5%가 “반대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둘을 합치면 90.7%다. 이에 반해 “전적으로 찬성”은 2%, “찬성하는 편”은 6%에 그쳤다.
정부 방안이 시행되면 취재환경이 “지금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자도 86.4%나 됐다. 정부 방안이 그대로 추진될 경우 대응 방침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헌법소원 등 법적 대응”(39.5%)이나 “취재 거부 등 직접적인 행동으로 저항”(38.9%) 등의 차례로 답했다.
정부의 정보 공개 정도에 대해 91.3%는 “잘 안 되는 편”이라고 답했으며, 현재 실시하고 있는 브리핑제 역시 88.4%가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했다. 정부가 앞으로 도입하려는 전자브리핑제도에 대해서는 88.7%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가 가장 문제를 삼고 있는 개별 공무원 접촉과 관련해 76.7%는 “공무에 지장이 없는 한 자유로운 접촉을 허용해야 한다”고 대답했고 “개별적으로 사전 약속이 되면 허용해야 한다”는 대답이 21.6%로 뒤를 이었다.
일부 정치권에서 폐지할 것을 주장하고 있는 국정홍보처와 관련해선 71.8%가 “유지하되 기능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이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5.7%포인트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