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룸 통폐합엔 이견, 정보 차단 우려엔 공감
17일 오후 KBS 1TV 등을 통해 생중계된 노무현 대통령과 주요 언론단체 대표들의 대화에서 신문ㆍ방송사 기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자협회는 브리핑룸 통합의 문제점에 초점을 맞췄고 인터넷신문과 방송 PD 측은 정보접근권 보장과 정보공개 확대에 더 높은 비중을 뒀다.
또 정부가 추진 중인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 중 브리핑룸 통합에 대해 논의가 마무리될 때까지 공사를 중단해달라는 토론자들의 요청에 대통령이 "융통성 있게 하겠다"고 답변했고, 앞으로 정부의 정보공개 확대와 내부 고발자 보호 등에 대해 정부와 언론 단체들이 참여해 협의하기로 한 점은 이날 토론의 성과로 평가될 전망이다.
◇기자실ㆍ브리핑룸 통폐합엔 시각 차
토론자들은 예전의 기자실 폐해에 대해선 대체로 공감하면서도 현재의 기사송고실과 브리핑룸 운영 실태에 대해선 시각 차를 보여 브리핑룸 통폐합에 대해서도 다소 다른 태도를 보였다.
정일용 기자협회장은 "기자실은 현재 대부분 없어졌고 기사송고실로 바뀌었다"면서 "대통령의 지적과 달리 기자들은 ('담합'할 시간이 없을 정도로) 매우 바쁘고 신문들의 1면 톱기사도 다양해졌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취재의 기초적인 자료인 정부의 정보를 얻는 데 너무 힘이 든다는 것이 문제고 취재에 불편함이 없다면 브리핑룸에 굳이 갈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오연호 인터넷신문협회장은 "브리핑룸 개방과 공유는 정부가 추진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시대의 흐름"이라면서 "지난 2003년 도입한 개방형 브리핑제를 제대로 운영했다면 지금 이 문제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자실 문제가 다시 불거진 것은 서울경찰청, 재경부, 통일부 등 일부 부처의 정부 관료 탓이며 기자들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부 브리핑에 의존하기보다는 기획 취재에 치중하는 PD의 경우 브리핑실 통합 문제에 비교적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
김환균 PD연합회장은 "PD들은 정부 부처 기자로 등록할 수 없어 브리핑룸의 폐단을 잘 알지 못하지만 고칠 게 있으면 고쳐야 한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힌 후 "다만 브리핑룸 통합이 공무원들의 취재 회피 수단으로 악용돼선 안된다"고 말했다.
신태섭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는 "기자실이 해당 출입처의 PR 창구로 전락했고 회원제로 운영돼 폐쇄적이라는 진단에 공감한다"면서 "하지만 이번 조치에서 정보접근권 보장과 정보공개 확대에 대한 실질적 개선이 중요한 문제"라고 발언했다.
◇정보공개 확대엔 한 목소리
김환균 PD연합회장은 "정부의 이번 조치에서 정보 차단 부작용이 우려됐고 공보실을 통해서만 공무원과의 대면 접촉을 허용하는 것은 취재 회피 수단으로 변질될 수 있다"면서 "정보공개를 확대하고 내부자고발 보호 규정도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지난해 MBC 김영미 프리랜서 PD가 수차례 동원호 피랍사건과 관련해 외교통상부의 입장을 확인하려 했으나 거부당했던 사례를 소개하면서 "경직된 운영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일용 기자협회장은 정부 부처 사무실 무단출입 문제와 관련, "기자들이 그 정도 양식은 있다"면서 "취재를 위한 사무실 출입을 무단출입이라고 막는 것은 오히려 무리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준희 인터넷기자협회 회장은 "정부가 도입하려는 전자브리핑 제도는 찬성하지만 그것이 대면 접촉의 회피 수단이 되지 않도록 운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앞으로 취재 편의를 제공하는 데 대통령으로서 의무를 다할 것"이라면서 "앞으로 정부와 언론계 대표들이 참여하는 기획단을 구성, 협의를 해나가고 진전이 있으면 브리핑룸 통합 공사 시기도 같이 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태삼 기자 tsy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