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KBS 1TV 등으로 생중계된 노무현 대통령과 언론단체 대표들과의 대화에서는 정부의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과 관련된 쟁점과 함께 정부와 언론의 관계 등이 논의됐다.
이를 지켜본 언론학자들은 일부 성과가 있기는 했지만 토론회의 운영과 핵심 쟁점에 대한 논의 내용에서는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
다음은 언론학자들의 토론회 반응과 평가 등을 간추린 것이다.
▲김창룡(인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노 대통령은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은 받아들이라고 이미 선을 그었고 정보공개 확대와 관련해선 보완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부분을 보면 조건부 유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대통령은 결론을 내렸는데 언론단체장들은 그 누구도 반박하지 않았다. 노 대통령의 정책을 중단시키고자 언론계 패널들이 나왔으면 이 부분을 적절하게 쟁점화하고 바로잡아야 했다.
노 대통령은 언론에 대한 불만, 기사의 품질 문제를 지적하며 모든 언론이 공격한다고 했는데 그렇지 않다. 쟁점에 따라 반대한 때도, 부분적으로 적극적으로 밀어준 때도 있었다. 언론계 패널들은 대통령이 '오버'하는 발언에 대해서도 사실관계를 정확히 짚지 못해 대통령의 피해의식만 부각됐다. 과연 브리핑룸과 기사송고실을 통폐합한다고 참여정부의 기대대로 기사 수준이 올라간다고 생각하는가.
또 언론계 패널은 대통령의 지적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대통령ㆍ패널 모두 사회자의 발언 제지를 무시하는 등 질서를 잡지 못하는 모습에 아쉬움이 컸다.
▲최영재 교수(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 노 대통령이 보류란 말은 못하겠다고 했지만 논의를 해가며 추진하겠다고 말한 것이 이번 토론회의 작은 소득인 것 같다.
대통령의 언론에 대한 비판ㆍ비평의식이 잘 드러났다. 토론회를 보면서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의 목적이 무엇인지 의문이 들었다. 대통령의 얘기를 들으면 언론개혁이다. 그러나 언론개혁은 일부 보수 신문의 정부에 대한 공격 보도, 왜곡 보도에 대한 시정을 목표로 했을 것이다.
2003년 개방형 브리핑 제도는 기자실의 폐단을 고치는 데 기여했을 지 모르겠으나 결과적으로 진정한 언론개혁, 바른 언론 만들기에선 한계를 보였다. 이번 방안도 사실은 다시 언론개혁을 얘기하는 것이다. 선진적인 언론이 돼야 한다는 대통령의 발언은 옳다. 그러나 과연 이 방안이 언론을 선진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 기자실 공간을 재조정하는 사안밖에 안돼 보인다. 이 문제를 토론하는 게 코미디 같은 느낌이 든다. ▲류한호(광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언론계가 공격하고 노 대통령이 방어하는 구조가 아니라 반대가 됐다. 대통령은 국민에게 기자실의 병폐를 제시하고 정부가 구상하는 방안으로 해야 하는 이유를 상당히 설득력 있게 메시지를 전했다. 반대로 언론계는 기자실의 존립에 대해 정확히 주장하지 못했다. 토론의 승패로 따지자면 대통령이 승이다. 다음 정권에 기자실이 원상 복귀되지 못하도록 제도를 마무리짓겠다는 대통령의 신념이 강하게 표출됐다. 반면 언론계 패널은 국정브리핑, 국정홍보처의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 문건을 제대로 안 보고 나온 것 같다. 이들이 할 말을 제대로 못한 듯해 썩 잘된 토론은 아니다. ▲손영준(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 노 대통령이 일부 양보하는 모습은 보였지만 실질적인 변화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오늘 토론회에서 대통령이 정부 운영과 관련해 고충을 말했는데 국민의 알 권리를 어떻게 실질적으로 보장하고 증진할지에 대해 고민하는 모습은 발견할 수 없었다. 대통령은 국민에 대한 정보공개는 부차적인 것으로 보고 기자실 문제를 중요한 것으로 봤는데 이번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이 어떤 동기에서 이뤄졌는지 의문을 갖게 한다. 이은정 기자 mimi@yna.co.kr (서울=연합뉴스)
2003년 개방형 브리핑 제도는 기자실의 폐단을 고치는 데 기여했을 지 모르겠으나 결과적으로 진정한 언론개혁, 바른 언론 만들기에선 한계를 보였다. 이번 방안도 사실은 다시 언론개혁을 얘기하는 것이다. 선진적인 언론이 돼야 한다는 대통령의 발언은 옳다. 그러나 과연 이 방안이 언론을 선진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 기자실 공간을 재조정하는 사안밖에 안돼 보인다. 이 문제를 토론하는 게 코미디 같은 느낌이 든다. ▲류한호(광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언론계가 공격하고 노 대통령이 방어하는 구조가 아니라 반대가 됐다. 대통령은 국민에게 기자실의 병폐를 제시하고 정부가 구상하는 방안으로 해야 하는 이유를 상당히 설득력 있게 메시지를 전했다. 반대로 언론계는 기자실의 존립에 대해 정확히 주장하지 못했다. 토론의 승패로 따지자면 대통령이 승이다. 다음 정권에 기자실이 원상 복귀되지 못하도록 제도를 마무리짓겠다는 대통령의 신념이 강하게 표출됐다. 반면 언론계 패널은 국정브리핑, 국정홍보처의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 문건을 제대로 안 보고 나온 것 같다. 이들이 할 말을 제대로 못한 듯해 썩 잘된 토론은 아니다. ▲손영준(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 노 대통령이 일부 양보하는 모습은 보였지만 실질적인 변화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오늘 토론회에서 대통령이 정부 운영과 관련해 고충을 말했는데 국민의 알 권리를 어떻게 실질적으로 보장하고 증진할지에 대해 고민하는 모습은 발견할 수 없었다. 대통령은 국민에 대한 정보공개는 부차적인 것으로 보고 기자실 문제를 중요한 것으로 봤는데 이번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이 어떤 동기에서 이뤄졌는지 의문을 갖게 한다. 이은정 기자 mimi@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