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미디어

정부 브리핑 여전히 정부 ‘입맛대로’

등록 2008-05-27 18:37

횟수 적고 정례화 안돼 부실 지적
전자브리핑도 응답 늦어 이용 저조
황치성 언론재단 연구위원 분석

참여정부에서 도입돼 안착돼 가던 브리핑제가 현 정부 들어 정책정보의 통로 구실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부실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황치성 언론재단 연구위원은 최근 나온 미디어 전문지 <미디어 인사이트> 5월호에 실은 글 ‘정부부처 브리핑 시스템에 대한 진단과 제언’에서 “브리핑 횟수도 적을뿐더러 정례화조차 이뤄지지 않아 또다른 취재 제약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2008년 4월 한달간 브리핑 운영 실태를 보면, 외교통상부와 국방부만 정례화하고 있다. 브리핑 횟수는 외교부와 국방부가 22회로 가장 많았고, 기획재정부 6회, 교육과학·농림수산식품부 4회, 행정안전·환경·노동부 3회, 국토해양부 2회 순이었다. 여성가족부는 한 번에 그쳤다.

보도자료를 넘어선 의미 있는 정보의 교환이 이뤄지지 않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황 위원은 발표에 그친 브리핑도 있다며 이처럼 브리핑이 애초 의미를 살리지 못한 가장 큰 이유를 담당자의 전문성 부족에서 찾았다. 정부 부처 대변인은 대부분 평균 임기가 1년을 넘지 못하는 순환보직 형태로 맡고 있다. 따라서 전문적이면서 책임 있는 답변을 원하는 기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다고 그는 분석했다.

황 위원은 영미 국가와 일본의 사례를 들며 “주요 정부 부처 대변인들은 중요한 정책 결정 과정에 깊숙이 참여하고 사전 조정회의를 통해 준비를 철저히 한다”고 소개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전자브리핑 또한 기자들의 이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브리핑 제도는 온라인 질의 답변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실시간 취재가 가능하도록 한 제도다. 하지만 기자들은 “질의해서 응답을 받아내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다 그 내용도 보도자료 수준을 넘어서지 못해 시간낭비”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황 위원은 “막대한 예산을 들인 선진시스템을 섣불리 폐기해서는 안 된다”며 “미비점을 개선해 더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또 브리핑 제도를 안착시킬 대안으로 △최소 주 1회 이상 정례화 △정책전달자의 체계적 사전 준비 △부처 대변인의 역할과 위상 강화 △브리핑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설치 등을 제시했다.

권귀순 기자 gskw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뉴진스 하니 패러디했다가 ‘SNL 예능’ 인종차별 뭇매 1.

뉴진스 하니 패러디했다가 ‘SNL 예능’ 인종차별 뭇매

서울 한복판 ‘윤석열 퇴진’ 집회…“불안해서 못 살겠다” 2.

서울 한복판 ‘윤석열 퇴진’ 집회…“불안해서 못 살겠다”

10도 가을 추위에 강풍특보까지…이러다 바로 겨울인가 3.

10도 가을 추위에 강풍특보까지…이러다 바로 겨울인가

김건희 ‘명품백’·‘주가조작’ 모두 항고 절차 밟지만 “특검밖에…“ 4.

김건희 ‘명품백’·‘주가조작’ 모두 항고 절차 밟지만 “특검밖에…“

‘한강 노벨상’ 따지러…스웨덴 대사관 몰려간 ‘부끄러운 보수단체’ 5.

‘한강 노벨상’ 따지러…스웨덴 대사관 몰려간 ‘부끄러운 보수단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