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이 9일 방영된 ‘대통령과의 대화-질문 있습니다’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보도국 내 다툼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11일 보도위원회를 열기로 해 주목된다. 보도위원회는 또 김종률 보도본부장이 <한국방송> 보도 뉴스와 관련해 대통령 경호실 쪽에서 불만을 표시하자 편집팀에 전화한 행위의 부적절성 여부도 가리기로 했다.
한국방송 관계자들 말을 종합하면, 9일 ‘대통령과의 대화’ 생방송 전에 고아무개 보도총괄팀장과 제작을 맡은 김아무개 피디가 고성을 지르고 어깨를 잡는 등 다툼을 벌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사자들은 다툼의 이유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방송 내부에서는 김 피디가 고 팀장 등이 프로그램 제작과 관련해 사소한 내용까지 관여하는 것에 불만을 가진 것이 다툼의 한 배경이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현석 한국방송 기자협회장은 “다툼의 원인이 프로그램 내용의 일부를 바꾸라는 경영진의 압력 때문이란 의혹이 있어 진위 여부를 보도위원회에서 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방송 며칠 전에도 청와대가 제작진에게 장미란 선수 출연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제작 자율성 침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제작진과 마찰을 빚은 고 팀장은 정연주 전 사장 퇴진에 앞장섰던 인물로, 그가 시사보도팀 일에 관여한 것은 월권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방송 관계자는 “보도총괄팀장이 보도본부 팀장들 중 선임이긴 하나 시사보도팀의 제작 업무에 관여할 순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고 팀장은 “‘대통령과의 대화’는 다른 부서의 일이고 담당 피디는 부하직원도 아니므로 그 일로 다툰 적이 없다”며 관련 사실을 부인했다.
보도위원회는 또 한국방송이 단독보도한 ‘청와대 파견 경찰 간부의 여성 경호원 성추행 사건’ 보도에 대한 김종률 보도본부장 개입 여부의 부적절성 여부도 따진다. ‘대통령과의 대화’ 생방송 직전 이명박 대통령이 대기실에서 기다리던 중 이 뉴스가 방영되자 경호실 관계자가 불만을 표시했고 이 자리에 함께 있던 김 본부장은 편집팀에 전화해 경위를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협회는 김 본부장의 행동을 압력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김 본부장은 “내가 대통령과 같이 있었는데 경호실 관계자가 성희롱을 성추행으로 보도하는 것이 너무 심한 것 아니냐고 해서 편집팀에 전화해 내용을 물어본 것일 뿐”이라며 “그걸 두고 압력이라고 말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라고 반박했다.
보도위원회는 정 전 사장 때 설치한 보도본부 내 프로그램 및 제작과정 공정성 감시기구다. 김 본부장은 “경영진과 일선 제작진 사이에 의견이 다를 수 있다”며 “보도위원회를 통해 어떤 오해가 있었는지 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문영 권귀순 기자 moon0@hani.co.kr
강성만기자 sungman@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뒷돈 제대로 주지 않으면 잦은 단속에 시달려”
▶ 안상수 인천시장도 종교편향 논란
▶ [길을찾아서] 그 여성들은 반나체로 끌려갔다
▶ 지관스님, 사과 온 어청수 ‘외면’
강성만기자 sungman@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뒷돈 제대로 주지 않으면 잦은 단속에 시달려”
▶ 안상수 인천시장도 종교편향 논란
▶ [길을찾아서] 그 여성들은 반나체로 끌려갔다
▶ 지관스님, 사과 온 어청수 ‘외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