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2% “대기업·신문 방송진출 반대”
한나라당이 대기업의 지상파 방송 진출을 허용하는 등의 언론 관련 7개 법안을 26일 이후 강행 처리하기로 한 가운데, 야당과 언론단체가 공동 저지투쟁에 나서 언론 관련법 처리 문제가 연말 정국의 최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등 야당과 전국언론노조 등 언론·시민단체들은 23일 한나라당의 방송법 개정안 등을 ‘언론장악 7대 법안’으로 규정하고 공동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민주당은 자체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언론 관련 법안을 이른바 ‘엠비(MB) 악법 1호’로 지정하고 적극 저지 방침을 밝혔다. 민주노동당 강기갑 대표도 이날 방송법을 대표적인 ‘엠비 악법’으로 지목하고 “육탄저지도 불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국 48개 언론·시민단체로 구성된 ‘언론 사유화 저지 및 미디어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회행동’(미디어행동)은 이날 민주당 주선으로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언론장악 7대 악법’의 저지를 다짐하는 한편, 홍준표·고흥길·정병국·나경원·진성호 의원 등을 ‘한나라당 언론장악 5대 주역’으로 지목했다.
26일 아침 6시부터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한 전국언론노조는 산하 본부·지부·지회에 구체적인 파업지침을 통보했다. 언론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이번 파업은 언론노조 전조합원이 언론 관련법 보도와 제작을 제외한 모든 업무를 거부하는 전면 총파업 형태로, 한나라당이 7대 언론 관련법을 포기할 때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언론노조는 또 24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한나라당사 앞에서 ‘총파업 출정 기자회견’과 26일 오후 2시 국회 앞에서 ‘방송장악 저지 언론노동자 결의대회’를 잇달아 열기로 했다.
한편, <미디어오늘> <기자협회보> <피디저널>이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함께 벌인 여론조사 결과, 62.4%가 대기업의 방송 진출에 반대했다. 찬성은 21.6%에 그쳤다. 신문사의 방송 진출에 대해서도 찬성은 18.4%에 그친 반면, 반대는 63.1%에 이르렀다. <와이티엔> 사태 해결 방안에 대해선 구본홍 사장 사퇴(65.2%) 의견이 노조의 사장반대 투쟁 중단(12.2%)보다 다섯배 이상 많았다. 김동훈 강희철 기자 c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