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제 노조위원장(오른쪽)과 정영하 사무처장이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문화방송 노조사무실에서 총파업 관련 일정을 논의하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공동기자단 꾸려…‘MB 언론정책 문제점’ 공동기사 게재
26일부터 시작된 전국언론노조 총파업에서 신문사들은 다소 비껴서 있다. 주요 개정 법안들이 대기업의 방송진출 완화와 신문·방송 겸영 전면 확대 등 방송사들에게 더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신문사들은 전국언론노조의 파업 지침에 따라 한나라당의 언론관계법 문제점을 집중 보도하는 ‘지면 파업’을 벌인다.
<부산일보>, <대구매일신문>, <경인일보> 등 전국 각 지방의 주요 12개 신문사는 지난 24일치부터 ‘지역신문 공동기획’이라는 문패를 달고 이명박 정부 언론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지면파업’을 벌이고 있다. 기사는 주로 한나라당이 추진하는 방송법·신문법 등 언론관계법 개정안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고, 하루 2꼭지씩 지역신문 공동기자단이 작성해 12개 신문에 일제히 실리고 있다.
중앙지 가운데선 <한겨레>와 <경향신문>이 ‘지면 파업’에 보조를 맞추고 있다. 김순기 전국언론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은 “신문사 조합원은 일단 보도를 통해 언론악법의 실상을 알리는 ‘지면파업’과 집회 참가에 주력하지만 앞으로 펼쳐지는 상황에 따라 제작거부에 들어갈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동훈 기자 c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