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조 조합원과 언론·시민단체 회원들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7대 언론 악법 저지와 조·중·동·재벌 방송 저지를 위한 총파업 출정대회’에서 어깨동무를 한 채 파업가에 맞춰 율동을 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언론노조, 총파업 돌입…방송제작 차질
정부 “불법파업 엄정 대처” 정면충돌 우려
정부 “불법파업 엄정 대처” 정면충돌 우려
전국언론노동조합(위원장 최상재)이 26일 방송법 등 한나라당의 언론 관련 7대 법안 강행처리 방침에 맞서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다. 정부는 이번 언론노조 파업을 ‘불법 파업’으로 규정하고 “엄정한 대처 방침”을 밝혀, 경찰력 개입 등 정면충돌이 우려된다.
언론노조는 이날 아침 6시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간 뒤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문화방송>, <에스비에스> 등 언론사 노조 조합원 3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었다. 언론노조는 결의문에서 “언론장악 7대 악법이 날치기 통과될 경우 즉각 정권퇴진 투쟁에 돌입하겠다”며 “어떤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총파업 대오를 사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문화방송 노조 조합원 600여명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사옥에서 출정식을 열었다. 에스비에스와 <와이티엔>, <시비에스> 등 각 방송사도 출정식 등을 한 뒤 총파업 대열에 합류했다. <한국방송>도 사원행동 소속 사원들을 중심으로 파업 결의대회에 동참했다. 에스비에스 일부 뉴스 진행자는 검정 옷을 입는 이른바 ‘블랙투쟁’으로 파업 지지 의사를 표시했다.
언론노조의 파업에 대해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노사간 교섭 대상에 속하지 않는 사유를 내건 불법 파업”이라며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파업 참여자는 법과 각 언론사 사규에 따른 조처가 있어야 하고, 만약 그런 조처가 없다면 국민이 그 언론사에 대해 책임을 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동부도 이날 브리핑을 통해 “언론노조가 파업으로 관철하려는 언론관계법 개정안 문제는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사항이 아니어서, 언론노조의 파업은 목적상 정당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 전국언론노동조합 총파업 출정식
[%%TAGSTORY1%%]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평화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신문·방송 겸영 허용이나 대기업의 방송 진출 관련 법 등은 연내 처리를 미루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어떤 내용으로 법을 바꾸더라도 언론노조는 받아들이기 힘들고, 반대하기 마련”이라며 “충돌이 일어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파업으로 문화방송은 이날 아침 6시 뉴스부터 일부 진행자가 비노조원으로 교체됐고, 스포츠 뉴스는 제작이 중단됐다. 문화방송은 또 매일 주요 뉴스를 통해 세 꼭지 이상 파업 소식을 보도하고, 27일 ‘뉴스 후’와 28일 ‘시사매거진 2580’, 다음달 6일 ‘피디수첩’을 통해 한나라당 언론관계법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다루기로 했다. 에스비에스와 와이티엔도 한나라당이 직권상정을 시도할 경우 전면파업에 돌입하고, 시비에스도 29일 대의원대회를 열어 30~31일 전면파업을 결의한다는 방침이다.
미디어행동과 ‘언론인 시국선언 대표자회의’, 피디연합회,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등도 성명과 논평을 내고 총파업 지지를 표명했다. 김동훈 김정수 기자 cano@hani.co.kr
미디어행동과 ‘언론인 시국선언 대표자회의’, 피디연합회,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등도 성명과 논평을 내고 총파업 지지를 표명했다. 김동훈 김정수 기자 c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