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룡(사진 하단 왼쪽에서 세번째)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 여당 추천 공동위원장이 6일 오후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부산시 해운대구)에서 열린 첫 번째 지역공청회에서 시간 종료를 이유로 일방적 폐회를 선언하자 참석했던 시민들이 ‘공청회 무효’를 주장하며 항의하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제공
의견 충분히 안듣고 종료
예정시간 지났다는 이유로
여당 추천 위원장 폐회 선언
야당쪽 위원들만 남아 답변
예정시간 지났다는 이유로
여당 추천 위원장 폐회 선언
야당쪽 위원들만 남아 답변
6일 부산에서 열린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 첫 번째 지역 공청회가 여당 추천 위원장이 일방적으로 종료를 선언하면서 청중들이 강하게 항의하는 등 파행을 빚었다. 객석을 가득 채웠던 청중들은 “여당이 여론 수렴이 목적인 공청회를 6월 언론관계법 국회 처리를 위한 요식행위로 활용하고 있다”며 ‘공청회 무효’를 선언했다.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부산시 해운대구)에서 열린 이날 공청회는 미디어위가 계획한 다섯 차례의 지역 공청회 중 첫 번째 순서였다. 대구와 울산 지역 주민들까지 참석해 120석 규모의 방청석을 가득 채우며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사태는 여야 공술인들의 토론이 끝난 뒤 청중들의 질의응답이 진행되던 중 발생했다. 김우룡 여당 추천 공동위원장이 예정된 공청회 일정인 오후 5시를 넘겼다는 이유로 5시20분께 공청회 전체 일정을 일방적으로 끝냈다. 청중들은 “지역민 목소리를 안 듣겠다면 공청회는 왜 하냐”며 강하게 항의했으나, 김 위원장과 여당 쪽 참석자들은 일제히 공청회장에서 퇴장했다. 대구에서 참석한 한 청중은 “생업까지 멈추고 멀리서 왔는데 여당 위원들은 자기들 하고 싶은 이야기만 하고 나가버렸다. 공청회란 이름으로 지역민들을 우롱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여당 쪽 황근 위원이 황급히 되돌아와 “다음번 지역 공청회에선 시간을 충분히 할애하겠다”며 사과했으나 청중들의 비판은 더욱 거세졌다.
여당 쪽 위원들과 공술인이 빠져나간 공청회장에선 야당 쪽 위원들과 참석자들만 남아 40여분간 청중의 질문을 받는 장면이 연출됐다. 강상현 야당 추천 공동위원장은 “지역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준비한 공청회가 파행으로 끝난 데 대해 8일 전체회의에서 공식 항의하겠다”고 말했다.
공청회에 참석한 지역민들과 언론인들은 공청회 장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공청회를 절대 인정할 수 없다”며 ‘공청회 무효’를 선언하고, “부산 공청회 추가 개최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정부·여당의 미디어 소유규제 완화가 지역 언론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놓고 비판의 목소리가 분출했다.
야당 쪽 공술인인 강창덕 경남 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는 “정부·여당의 언론법이 그대로 통과되면 지역은 (서울에 본사를 둔 언론사의) 하청과 재하청 업체로 전락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청중으로 공청회를 지켜본 신명철 대구문화방송 노조위원장은 “지금도 지역 언론이 중앙에 예속돼 있어 지역민을 대변하는 의제 설정에 한계를 느끼는데, 조중동과 재벌이 들어와서 지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겠다는 논리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결국 지역 방송은 서울 방송의 단순한 중계소로 전락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이학수 <경남신문> 노조위원장도 “조중동의 불법 판촉을 그나마 억제해 오던 신문법 10조 2항을 삭제한 정부·여당의 법 개정안은 한마디로 지역신문 타살정책”이라며 “현재의 개정안대로 국회에서 법안이 통과되면 여당 추천 위원들은 지역신문 죽이는 데 앞장선 행동대장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여당 쪽 공술인인 강경근 숭실대 교수는 “경품 문제가 그렇게 큰 변수가 되는지 모르겠다”고 반박했다. 미디어위원회는 13일 춘천, 20일 광주, 27일 대전에서 지역공청회를 연다.
부산/이문영, 박창섭 기자 moon0@hani.co.kr
부산/이문영, 박창섭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