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이 전자투표를 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언론법 강행처리 반발 전국확산
광주전남 “언론노조 총파업 동참”
대전충청, 한나라 규탄 촛불집회
인천 “이윤성 의원직 사퇴” 촉구
대구, 규탄회견·울산 노동자대회
광주전남 “언론노조 총파업 동참”
대전충청, 한나라 규탄 촛불집회
인천 “이윤성 의원직 사퇴” 촉구
대구, 규탄회견·울산 노동자대회
한나라당의 언론관련법 강행처리에 대한 비판과 반발이 23일 서울과 부산, 대구, 광주 등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날 ‘언론법 원천무효’를 외치는 기자회견과 촛불집회 등이 전국에서 다양하게 개최됐다.
서울에선 전국언론노조(위원장 최상재)가 이날 오후 국회 앞에서 ‘한나라당 불법투표 원천무효 선포대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서 1500여명의 언론 노동자들은 ‘불법투표 원천무효’라는 빨간 손팻말을 들고 한나라당을 규탄했다. 박경신 고려대 교수(법학과)는 집회에서 “정족수 미달로 폐기된 안건은 같은 회기 내 논의하지 않는다는 일사부재의 원칙을 어겼다”고 말했다.
언론노조는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국민들에게 언론법의 부당성을 알리는 한편, 한나라당의 대리투표 정황을 입증할 사진·영상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언론노조는 또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 등과 연대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절독 및 광고주 불매운동을 벌여, 조중동이 한나라당의 배후임을 알린다는 방침이다.
부산지역 42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용산철거민 진상규명 및 엠비(MB)악법 저지를 위한 부산시국회의’(시국회의)는 이날 오전 한나라당 부산시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날치기 통과된 미디어법은 원천무효”라며 “이명박 정권을 더이상 국민이 위임한 권력으로 생각하지 않고, 국민과 함께 퇴진 투쟁을 벌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시국회의 회원 30여명은 기자회견 뒤 한나라당 부산시당 앞에서 거리농성을 벌였다. 시국회의와 ‘언론장악 저지 및 지역언론 공공성 지키기 부산연대’ 등은 이날 저녁 7시부터 부산진구 쥬디스태화백화점 앞에서 언론법 강행처리를 규탄하는 시민촛불문화제를 열었다.
광주·전남지역 23개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광주·전남 미디어 공공성연대’ 등도 이날 옛 전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은 하루빨리 언론 장악 시도를 포기하고 민생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전국언론노조의 총파업에 동참해 끝까지 싸워나가겠다”고 밝혔다.
대전·충청 지역에서도 이날 오전 ‘충남 시국회의’가 천안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언론악법 날치기 처리는 의회 쿠데타이자 국민의 의견을 무시하는 폭거”라고 비난했다. 충북지역 30여개 시민·사회단체도 이날 오전 청주시 한나라당 충북도당 앞에서 규탄 기자회견을 연 뒤, 항의 표시로 당사에 달걀을 던졌다. 이날 밤 청주 상당공원에서는 한나라당 규탄 촛불문화제가 열렸다.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야당 관계자 50여명은 이날 남동구 구월동에 있는 이윤성 국회부의장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언론악법 날치기를 주도한 이 부의장은 의원직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들도 이날 2·28 기념공원에서 규탄 기자회견을 했으며, 같은 장소에서 촛불문화제를 열기도 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언론법 강행처리와 쌍용자동차 경찰력 투입에 항의해 22~24일 산하 사업장 104곳 4만5000여 조합원들에게 총파업 지침을 내리고, 이날 오후 울산대공원 동문 앞에서 노동자대회를 열었다. 이경미 기자, 부산/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언론법 강행처리와 쌍용자동차 경찰력 투입에 항의해 22~24일 산하 사업장 104곳 4만5000여 조합원들에게 총파업 지침을 내리고, 이날 오후 울산대공원 동문 앞에서 노동자대회를 열었다. 이경미 기자, 부산/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