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재일 의원 “비판적 언론 손보려 조정신청 청구 남발”
일반인 중재신청은 조선이 111건…중앙일간지 최다
일반인 중재신청은 조선이 111건…중앙일간지 최다
정부 부처의 언론중재위원회 조정신청은 <한겨레>와 <경향신문>에 집중된 반면, 일반인들을 포함한 전체 신청인의 피해구제 청구는 <조선일보>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변재일 민주당 의원이 15일 언론중재위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행정부의 언론중재위 조정신청 청구 현황’ 자료를 보면, 전체 33건 중 각각 10건과 7건이 한겨레와 경향신문을 상대로 제기됐다. 전체의 52%에 달하는 수치다. 정부에 우호적인 조선일보와 <문화일보>는 각각 2건과 3건에 불과했다. <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1건의 신청도 없었다.
행정부가 인터넷언론을 대상으로 조정신청한 11건 중에서도 6건(<프레시안> 3건, <오마이뉴스> 2건, <민중의 소리> 1건, 전체의 55%)이 비판적 언론 3사에 몰렸고, 주간지 대상 신청건수 6건 가운데선 <한겨레21>과 <위클리 경향> 두 매체가 각각 2건(전체의 67%)씩을 차지했다.
반면 이정현 한나라당 의원이 2007년 1월부터 올 8월 말까지 확인한 ‘언론중재위 언론사별 조정신청 처리 현황’은 정반대 결과를 보여준다. 11개 중앙일간지에 제기된 조정신청 총 535건 중 111건(20.7%)이 조선일보를 상대로 제기됐다. 한겨레는 70건, 경향신문은 50건의 조정신청을 받았다. 지상파방송 3사 대상의 조정신청(349건) 중에선 <문화방송>(MBC)에 150건(42.9%)이 몰렸다. 조사기간이 일부 다른 점(참여정부 마지막 1년 포함)을 감안하더라도, 변 의원 조사결과와는 크게 다르다. 정부 비판언론을 타깃으로 한 행정부의 피해구제 신청 행태와 언론보도의 ‘옳고 그름’을 바라보는 전체 신청인의 인식이 괴리돼 있음이 확인된 셈이다.
정부광고도 친정부 성향 매체로 집중됐다. 변 의원에 따르면, 현 정부 출범 후 조중동에 준 정부광고 비중은 2007년 21.8%(130억5000만원)에서 2008년 26.5%(192억1500만원)로 뛰었다. 그러나 한겨레·경향에게 제공된 정부광고는 2007년 11.7%(70억2900만원)에서 2008년 10.7% (78억5600만원)로 줄었다.
변 의원은 “이명박 정부가 친정부 매체엔 광고를 대폭 늘려 적극적 지원을 하고 비판적 언론엔 언론중재위 조정신청 청구를 남발하는 속뜻은 ‘비판적 언론 손보기’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도 “조선일보와 엠비시는 언론 영향력이 매우 큰 매체로 파급효과 또한 크다”며 “언론의 잘못된 보도로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