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거센 비판
청문회 개최 주장 힘얻어
청문회 개최 주장 힘얻어
김우룡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의 ‘조인트 발언’이 알려진 18일, 야당은 일제히 거센 비판을 쏟아냈다. 이명박 정부의 ‘방송 장악’ 실체가 당사자의 입을 통해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야당은 2008년 정권 출범 직후 정연주 <한국방송> 사장의 해임과 대선 캠프 출신 인사의 <와이티엔> 사장 임명 등 방송 장악 배후가 청와대라는 그동안의 심증이 결국 물증으로 확인된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야당 의원들이 경악한 것은 무엇보다도 청와대-방문진-<문화방송> 사장 라인이 직접적이고 일방적인 관계로 엮여 있다는 점이다. 민주당 의원들은 김우룡 이사장이 “이번 문화방송 인사로 인해 좌파 청소가 70~80% 이뤄졌다”고 말한 것과 관련해, 김 이사장을 “청소반장”, 김재철 사장은 “청소부”라고 비판했다. 특히 방송사를 좌파-우파 색깔론으로 가르는 데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논평을 내어 “색깔론으로 도배하여 정치적 탄압을 일삼는 이명박 정권의 구시대적 작태는 독재정권하의 언론 장악 수단 그 자체”라고 비판했다. 양승조 민주당 의원은 이날 본회의에서 “우리가 1970년대, 80년대에 살고 있냐. 아니면 2010년에 살고 있는 거냐”며 “국가가 10년이 아니라 20년 이상을 후퇴하고 있음을 절감한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도 논평을 통해 “문화방송 장악의 목표가 피디(PD)수첩 등 정권 비판적인 보도프로그램을 폐지 혹은 통제하고, 한나라당 정권 재창출에 유리한 방송 여건을 만드는 데 있다는 것 역시 확인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보신당은 “엠비시(MBC)는 MB씨(氏)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MB씨(氏)만 모르고 있으니 참으로 한심하다”고 논평했다.
김 이사장의 발언으로 엄기영 전 문화방송 사장의 사퇴를 둘러싸고 제기된 의혹을 풀기 위한 청문회 개최를 주장해온 야당의 주장이 힘을 얻게 됐다. 민주당은 지난 2월 국회에서 엄 전 사장의 퇴임 과정에서 방문진의 압력이 있었는지 진상을 가리는 청문회의 개최를 주장했다. 당시 전병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민주당 간사는 “엄 사장이 방문진의 문화방송 장악 의도로 사실상 강제퇴직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며 청문회 개최를 요구했다. 그러나 여당의 거부로 청문회는 열리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최문순 민주당 의원은 방문진 이사장의 정치적 독립을 보장하고, 현재의 상임직을 비상임으로 전환하는 등 권한을 축소하는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안을 낼 예정이다.
이유주현 이정애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