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동·환경단체 등 망라
대국민 홍보·서명운동 나서
대국민 홍보·서명운동 나서
<한국방송>(KBS)이 수신료 인상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면서 이를 저지하기 위한 움직임도 활발하다.
야당과 언론단체뿐 아니라 노동·농민·여성·환경·평화·교육·종교·청년·반부패·지역 쪽 단체 등 시민사회 전 영역이 수신료 인상 저지 운동의 주체로 나서는 양상이다. 현재 한국방송과 정부·여당이 추진하는 인상 방식의 부적절성을 알리고, 반대여론을 조직해 국회를 압박하는 데 활동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큰 차이는 없다.
두 개의 연대조직이 반대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발족한 ‘케이비에스 수신료 인상 저지 범국민행동’엔 500여 단체가 망라돼 있다. 민주언론시민연합과 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등 국내 주요 시민사회단체들이 ‘운영위원 단체’를 맡고 있다. 김유진 민언련 사무처장은 “수신료 인상 저지는 언론단체들만으론 역부족이다. 강행처리를 막아내려면 모든 역량을 모아 국회를 압박해야 한다는 게 범국민행동의 구성 취지”라고 설명했다. 범국민행동은 매주 토요일 서울 종로 보신각 앞에서 수신료 인상 저지 캠페인을 벌이는 한편, 6일까지 수신료 인상에 대한 여야 국회의원 전원의 견해를 취합해 조만간 공개할 예정이다.
‘케이비에스 수신료 인상 저지 100일 행동’은 지난해 8월 결성된 ‘언론악법 원천무효 언론장악 저지 100일 행동’의 틀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당시 언론개혁시민연대와 전국언론노조 등이 참여해 정부·여당의 언론법 강행처리에 긴급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100일 행동’은 수신료 정국에서도 연대틀을 이어가며 대국민 홍보와 서명운동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달 21일부터 향후 100일 동안 수신료 인상 저지 릴레이 1인 시위와 서명운동을 진행중이다.
50여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미디어행동은 단순한 인상 저지를 넘어 대안적 법제도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박영선 미디어행동 대외협력국장은 “‘수신료위원회’ 같은 외부 독립기구를 만들어 공영방송 수신료 체계를 논의토록 하는 안을 곧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대조직만 움직이는 게 아니다. ‘한국방송을 향한 실망감 때문’이란 ‘인식의 출발선’을 공유한 단체들이 곳곳에서 개별 활동을 펼치고 있다. ‘케이블방송 독점규제와 난시청 해소를 위한 전국대책위원회’와 ‘사단법인 전국아파트연합회’의 주된 반대 이유는 한국방송의 소홀한 난시청 해소 노력이다. 올해 25년째 시청자운동을 벌이고 있는 서울와이엠시에이는 시청자의 시각에서 수신료 인상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공청회를 준비하고 있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