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지 발행·발송부수 첫 발표
신문잡지부수공사기구(한국ABC협회)가 전국 116개 일간지에 대한 지난해 하반기 발행·발송부수 조사결과를 29일 발표했다. 부수공사기구가 창립 이래 일간지의 발행부수와 발송부수를 함께 발표한 것은 처음이다. 하지만 신문 광고효과와 영향력의 ‘속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유료부수(지국 및 가판업자가 구독자에게 판매한 부수)가 공개되지 않아 신문이 실제 얼마나 팔리고 읽히는지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전국 일간지를 대상으로 한 발행부수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선일보>의 발행부수(발송부수)가 184만4천부(184만3천부)로 가장 많았다. <중앙일보>와 <동아일보>가 각각 130만9천부(130만8천부)와 128만9천부(128만8천부)로 뒤를 이었다. <국민일보>는 29만5천부(29만4천부), <경향신문>은 29만2천부(29만1천부), <한겨레>는 28만1천부(27만9천부)였다.
‘발행부수’는 신문 인쇄부수를 말하며, ‘발송부수’는 발행부수 중 신문사가 외부로 발송한 부수를 일컫는다. 조중동 3사 외에 종합편성채널 예비사업자인 <매일경제>와 <한국경제>는 각각 87만7천부(87만5천부)와 51만3천부(51만1천부)로 나타났다. <서울신문>과 <문화일보> 및 <세계일보>의 경우 각각 17만부(16만9천부), 16만2천부(16만2천), 8만5천부(8만4천부)를 기록했다.
그동안 언론전문가들과 광고주들은 신문의 발행부수에 ‘허수’가 많다며 유료부수 공개를 요구해왔다. 신문사들이 발행부수를 과장해 광고 단가를 높이는 한편, 신문사의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는 비판이었다. 독자 구독부수보다 훨씬 많은 신문을 찍어내는 과정에서 부풀려질 뿐 아니라, 신문사가 무료로 넣어주는 신문까지 포함되는 현 발행부수론 신문의 진짜 영향력을 측정하기란 쉽지 않은 까닭이다.
부수공사기구는 새로 개정한 ‘유료부수 인정 기준’을 적용해 유료부수를 산출했으나, 이번 발표엔 포함시키지 않았다. 지난해 9월 부수공사기구는 ‘구독료 정가의 80%에서 50%’로 기준을 낮췄다. 구독료를 절반만 수금해도 유료부수 1부로 인정해주겠다는 뜻이다. 기준 변경을 두고 거대 신문사들의 노골적인 ‘끼워 팔기’를 합법화시켜주는 ‘불공정행위 촉진 규정’이란 비판이 제기된 이유다. 언론시민단체들이 신문고시(구독료 20%까지의 무가지와 경품 및 2개월의 준유가기간만 허용)를 사문화하고 신문시장 혼탁을 심화시킬 것이라며 반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부수공사기구는 “지난해 이사회 때 유료부수 공개를 미뤄달라는 회원사들의 요청이 있어 내년부터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료부수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한국리서치센터(HRC)의 열독률 조사(국민들을 대상으로 특정 신문을 실제로 읽었는지 면접조사) 결과를 보면, <한겨레> 열독률은 이날 발표된 발행부수와 거의 일치했다. 반면 다수 신문들은 발행부수와 열독률이 큰 차이를 보였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정한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채널 사업자 신문 부수 검증 기관’이기도 한 부수공사기구는 방송 진출 희망 신문사들의 지난해 1~12월 발행·유료부수 검증 결과를 해당사에 통보했으나, 대외적으론 발표하지 않았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