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방통위 등 업무보고
“판매 애로 겪는 중소기업 도우려”
방통위, ‘수신료 인상 노력’ 재확인
“판매 애로 겪는 중소기업 도우려”
방통위, ‘수신료 인상 노력’ 재확인
이른바 ‘제7 홈쇼핑’이라 불리는 공영티브이(TV) 홈쇼핑 채널(공영 홈쇼핑)이 이르면 올 하반기에 방송을 시작할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 중소기업청 등 5개 기관은 15일 청와대 보고를 통해 “판매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 제품과 농축수산물의 판로를 확충하기 위한 공영 티브이 홈쇼핑 채널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현재 미래부 주관으로 진행 중인 사업자 선정 절차도 사실상 마무리 단계다. 지난해 12월31일 마감한 사업자 신청 접수에서 중소기업유통센터 컨소시엄 한 곳만이 신청했다. 사실상 이 곳으로 결정이 난 셈이다. 컨소시엄에는 중소기업유통센터, 농협경제지주,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등이 참여했고, 자본금은 800억원 규모이다. 정부는 △판매 수수료 인하 △공공기관, 공익법인 등으로 주주자격 제한 △수익 배당 금지 △중소기업 제품 및 농축수산물만 판매 등으로 공익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홈쇼핑 업계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중소기업 전문 채널을 포함해 모두 6개의 홈쇼핑 채널이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홈쇼핑 채널 관계자는 “중소기업 제품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홈앤쇼핑이 이미 있다. 과잉경쟁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홈앤쇼핑도 대주주가 중소기업중앙회이며, 농협경제지주· 중소기업은행·중소기업유통센터가 지분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미래부 관계자는 “중소기업이 300만 개인 상황에서 기존 중소기업 전문 채널 1개로는 수요를 충족할 수 없다. 하나 더 생길 경우 기업들의 진입장벽을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방통위는 “공영방송 수신료 현실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수신료 인상 의지를 재확인했다. 현재 2500원인 수신료를 4000원으로 인상하는 수신료 인상안은 지난해 2월 방통위 의결을 거쳐 현재 국회에 머물러있다. 국회의 조속 처리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얘기다.
방통위는 △초고화질방송(UHD) 및 다중채널(MMS) 도입 등 뉴미디어 정책 추진 △한류 재도약 위한 콘텐츠 역량 강화 △가상·간접광고 등 광고규제 완화 방안도 보고했다.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