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17일 임명한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이사 가운데 3명이 <친북 반국가행위자 인명사전> 편찬을 추진하는 등 극단적 우파 성향 활동을 해온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 소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 편향성을 가진 특정 단체에서 공영방송 이사가 3명이나 배출된 것에 대한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18일 새정치민주연합 최민희 의원은 “새로 임명된 9명의 방문진 이사 가운데 고영주·김광동·권혁철 이사가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 소속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방문진은 <문화방송>(MBC)의 대주주로서, 실질적인 최고 의결기구다. 방문진 이사는 총 9명으로, 이 가운데 여당 추천 이사가 6명이다. <한겨레>가 해당 단체의
누리집을 확인한 결과, 고 이사는 이 단체의 위원장이고, 김 이사와 권 이사는 10명의 집행위원 명단에 들어있다.
이 단체는 누리집에서 “이명박 정부 출범으로 지난 10년간의 좌파정권이 종식되고, 자유민주적 가치를 중시하는 우파정권이 출범한 새로운 정치사회 환경의 변화에 부응한다”고 결성 취지를 설명했다. 특히 이 단체는 지난 2010년 “대한민국의 헌정질서와 국가정체성을 수호하겠다”며 이른바 <친북 반국가행위자 인명사전> 편찬사업을 추진해 2009년 1차로 100명의 명단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단체가 발표한 100명 명단에는 박원순 서울시장, 김근태 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조정래 소설가.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포함됐다.
최 의원은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는 일부 역사 교과서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대해 좌편향이라며 문제를 제기하고, 국정원의 선거개입 및 불법해킹 의혹 등 정보기관의 일탈행위에 대해서는 ‘안보’를 내세워 일방적으로 옹호하는 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 또 광복절을 앞두고 ‘건국 67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광복절을 건국일로 지정해 기념할 것을 앞장서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이사 임기인 3년 동안 (이 단체 출신인) 이들로 인해 공영방송이 더욱더 이념의 아수라장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 심각하게 우려된다”며 “방송 장악만을 목적으로 한 방통위의 이사 선임에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현행 방송문화진흥회법은 방문진 설립 목적을 “방송사업자의 공적 책임을 실현하고, 민주적이며 공정하고 건전한 방송문화의 진흥과 공공복지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