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언론 학회 긴급 토론회
가치판단 없이 제목으로 기사 분류
권력에 대한 감시·비판 기능 간과
이용자가 포털변화 이끌 구조 필요
가치판단 없이 제목으로 기사 분류
권력에 대한 감시·비판 기능 간과
이용자가 포털변화 이끌 구조 필요
새누리당이 ‘포털이 야당 편향적’이라고 주장하며 ‘포털 때리기’에 나선 것을 두고 언론학계와 미디어업계에서 “포털을 정치적으로 유리하게 이용하려는 목적이 두드러진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한국방송학회와 한국언론정보학회는 14일 오전 서울 서소문 환경재단 회의실에서 ‘포털 뉴스서비스의 평가와 대안’이라는 긴급 토론회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여당이 이른바 ‘포털 개혁론’의 근거로 삼고 있는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소 ‘포털 모바일뉴스 메인화면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이하 보고서)에 대해 “신뢰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발제를 맡은 이영주 ‘마이온(MyOn)정치미학연구소’ 소장과 심영섭 한국외국어대 강사는 “보고서는 6개월 동안 다음 1만9754개, 네이버 3만482개의 기사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고 하는데, 실제로 모바일 페이지 첫 화면을 6개월 동안 30분 단위로 분석했다면 각 사별로 4만3440개의 기사가 노출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 방법 자체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별도의 가치판단 없이 기사 제목만으로 긍정·부정·중립을 분류한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보고서에는) 무엇보다 ‘권력 감시·비판이 언론의 기본 구실’이라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없다”고 말했다.
발제를 맡은 김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강사는 “여당의 포털 보고서, 신문법 시행령 개정 등 최근 정부·여당에서 시도하고 있는 일련의 움직임들은 모두 ‘정치적 편향성’을 기준으로 소수의 공급자들을 통제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며 “이는 ‘내 편, 네 편’이란 대립 구도를 통해 대중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없애거나 협소화시키려는 정치적인 담론”이라고 주장했다.
바람직한 포털 개혁 방안과 관련해 김동원 강사는 “뉴스 이용자들이 포털을 압박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