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적 시청료 올리기·수신료 깎기 등 횡포…방송위 재허가 심사 별러
한국케이블티브이 제주방송(케이시티브 제주)은 이달부터 신규가입자를 대상으로 35개 보급형 채널 한달 시청료를 5500원에서 40개 채널 7700원으로 올렸다. 내년 1월부터는 기존 시청자들도 7700원을 내야 한다. 채널 5개를 늘리면서 40%(2200원)나 올린 것이다.
방송 프로그램 공급가격 인상과 선로 유지비 등 원가 상승문제로 경영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 인상 이유다. 하지만 지난해 이 회사의 당기 순이익은 47억2천만원에 이르렀다. 현재 제주도에선 케이블티브이방송사(에스오)가 하나 밖에 없어 가입자들이 다른 곳으로 바꾸려 해도 바꿀 수도 없는 처지다.
에스오가 자신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시청자와 방송채널사업자(피피)에 대한 횡포가 지나치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최근에는 케이블티브이 업계의 인수합병이 붐을 이루면서 여러 케이블티브이를 거느린 복수케이블티브이방송사(MSO)의 불공정행위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원가에도 못 미치는 가격의 수신료를 받는 덤핑 판매도 여전히 문제다. 내용보다 가격으로 승부한다는 점에서, 거대 신문사와 닮은 꼴이다. 얼핏 소비자들에게는 좋을 듯하지만, 이는 소비자에게 부메랑이 된다. 덤핑 판매는 수신료 수입저하를 불러와 홈쇼핑채널에 의존하게 되고 자체방송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에스오들은 또 프로그램 가격 후려치기도 서슴지 않고 한다. 지난해 국감자료를 보면 에스오들의 피피 수신료 배분율은 6.6%에 그쳤다. 2002년 2월 한국종합유선방송협회 이사회에선 피피 수신료 배분율을 30~32.5%로 존중해 주기로 했으나 전혀 지키지 않고 있다.
종교·교양·다큐멘터리 채널을 공급하는 피피들은 채널 공급의 조건으로 에스오한테 저가 수신료를 제시받거나, 심지어는 무료로 송출해 줄 것을 요구받고 있다.
사정이 이렇자, 국회 문화관광위원회의 방송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국회의원들의 질타가 잇따랐다. 이경숙 열린우리당 의원은 태광산업 계열 엠에스오가 피피에 보낸 행사 협찬요청서를 인용해 엠에스오가 피피에게 보험료, 번호표값, 안내 깃발, 기념품, 모자, 식사비, 진행요원 경비, 상금, 트로피, 상품 등등 온갖 자질구레한 물품까지 요청했다”고 주장했다. 이계진 한나라당 의원도 엠에스오의 우월적 지위 남용을 지적하며 방송위의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방송위도 강하게 벼르고 있다. 올해 심사대상 에스오는 49개로 전체 119개의 40% 정도이지만, 수도권 및 대도시 41개 에스오가 포함돼 있어 가입자 수나 매출액 등 실직적인 비중으로 보면 과반수에 이른다.
이효성 방송위 부위원장은 “경인방송 때처럼 에스오에 대한 재허가 심사도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기준에 미달하는 업체는 과감하게 추천을 거부해 퇴출시키겠다”고 말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이효성 방송위 부위원장은 “경인방송 때처럼 에스오에 대한 재허가 심사도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기준에 미달하는 업체는 과감하게 추천을 거부해 퇴출시키겠다”고 말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