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추천 이사 5명이 적극 나서
북주민들이 한국 방송 시청하도록
추경 1억원 편성해 사업지원키로
북주민들이 한국 방송 시청하도록
추경 1억원 편성해 사업지원키로
<문화방송>(MBC)의 관리감독기구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가 안팎의 비판에도 ‘대북 방송사업’을 추진하기로 해 논란을 빚고 있다. 망가져버린 노사관계를 바로잡는 데에는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던 방문진 여권 추천 이사들이 이 문제에 유독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양새다.
방문진은 지난달 28일 열린 이사회에서 여권 추천 이사 5명이 안건으로 올린 ‘북한 주민의 한국 방송 시청 확대를 위한 지원 사업 추진 결의안’을 논의하고, 3명의 이사로 구성된 소위원회를 만들어 사업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로 결정했다. 앞선 7일 이사회에서 처음 발의된 이 안건은, 북한 주민들이 한국 방송을 시청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방문진에서 1억원의 추경 예산을 편성해 관련 사업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안건을 발의한 김광동 이사는 “<한국방송>(KBS), <극동방송>, <미국의 소리> 등 7~8개 방송사가 이런 사업을 해왔으나 방문진만 하지 않았다. 공모 방식으로 타당성·효율성·적합성 있는 단체를 두세 곳 선정해서 사업 추진을 지원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3명의 야권 추천 이사들은 이사회에서 안건 발의의 배경과 사업 내용의 불투명성 등을 문제 삼았다. 통일부 등 정부 당국과의 협의가 전제되지 않으면 사업의 실효성 자체를 담보할 수 없으며, 현재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어버이연합의 관계가 문제가 된 상황에서 자칫 ‘애국보수’ 단체들에 대한 비정상적인 지원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문화방송을 관리감독하는 것이 방문진의 기본 역할인데, 문화방송의 인사·노사관계 문제, 방송의 공정성 문제 등은 다 방기한 채 이 안건만 긴급하게 논의하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러나 다수인 여권 추천 이사들은 표결을 앞세워 “여권 추천 이사 2명과 야권 추천 이사 1명으로 이뤄진 ‘소위원회’를 만들어 사업 타당성 등을 검토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소위원회라는 단계를 거치긴 하지만, 애초 의도대로 사업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문화방송의 노사관계 문제에 대해서도 소위원회를 구성해 논의하자”는 제안도 나왔지만 여권 추천 이사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이에 대해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성명을 내 “방문진은 공영방송의 최우선 책무를 포기했다. 다수의 횡포로 공영방송을 좌지우지하고 공적 책무와 무관한 엉뚱한 일에 헛돈을 쓰지 못하도록 정치권이 나서서 방송법과 방문진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