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서울 상암동 문화방송 사옥에서 라디오국 부당 개입 사례를 공개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박준용 기자
제작거부에 나선 <문화방송>(MBC)라디오국 피디들이 부당한 보도통제·출연자 배정 지시 사례들을 공개했다. 이들은 “(부당 개입으로)세월호와 위안부, 국정농단 같은 중요한 이슈들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28일 전국언론노조 문화방송본부 소속 라디오국 피디들은 오전 5시를 기해 전면 제작거부에 나섰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10시 반 서울 상암동 본사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면 제작거부에 돌입했다. <별이 빛나는 밤에>, <두시의 데이트>를 비롯한 많은 프로그램들이 진행자 없이 음악만 나가는 파행을 맞게 된다”면서 “라디오 피디들의 제작 자율성은 크게 심각하게 훼손당했다”고 밝혔다.
한재희 피디는 “<신동호의 시선집중>·<세계는 우리는>같은 시사 프로그램은 물론, 우리 삶의 모습을 담아야 할 많은 프로그램에서 광범위한 아이템 검열과 제작 개입이 이뤄졌다”면서 “세월호와 위안부, 국정농단 같은 중요한 이슈들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피디들이 부당 보도개입으로 꼽은 사례는 △세월호 참사△위안부 △최순실·박근혜 게이트 관련 보도에 집중됐다. 증언된 사례를 보면, 2015년 4월16일 <양희은 강석우의 여성시대>에서 진행자가 “(세월호 참사가) 수습이 되어야 할 텐데…그런데 대통령은 어디 밖에 나가신다고 그러고, 국무총리는 이상한 일에 연루되어서 공백상태가 될 거 같고...그럼 이거 해결이 되겠습니까”라고 언급하자, 당시 라디오 국장이 생방송 중인 피디를 국장실로 불러 경위를 따져 물은 일이 있었다. 당시 담당 부장은 “세월호 관련 특집은 가급적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지시했다는 담당 피디의 주장도 나왔다. 2015년 12월 28일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이 문제를 1년 동안 <시선집중>은 3회, <세계는 우리는>은 2회 밖에 다루지 않았다. 경쟁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이 1년 간 20회에 걸쳐 이 문제를 다룬 것과 대조를 이뤘다.
최순실·박근혜 게이트와 대통령 탄핵국면에서도 라디오 피디들은 철저히 탄핵찬성과 탄핵반대의 양쪽 연결로 처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덴마크 현지에서 정유라를 추적해 인터뷰한 박훈규 독립피디와 인터뷰가 예정돼 있으나 불방됐다”는 사례도 공개됐다.
공개된 제작 자율성 침해 사례에는 출연자에 대한 개입도 포함됐다. 피디들은 김소영·손정은·최현정 아나운서 등의 출연을 제안했지만 허락받지 못했고, 일부 우파 단체 소속 인사의 출연을 요구받기도 했다. 또 2015년 11월 당시 라디오국장이 신규입사자 전원을 회의실로 불러 “노조가 정치적인 중립을 어겼다”고 말하는 등 노조가입 방해 행위도 있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피디들은 이러한 회사 경영진의 부당 개입이 라디오국 청취율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말한다. 박정욱 피디는 “문화방송 라디오 청취율 급락은 시사 프로그램 청취율이 떨어졌기 때문”이라면서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비해 <신동호의 시선집중>의 청취율이 3배 정도 낮아졌다. <뉴스데스크>의 시청률 하락과 같은 궤적을 그린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문화방송 편성국 피디 20여명도 오전 5시부터 제작·업무 거부에 나섰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