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전국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 조합원들이 서울 공덕동 뉴스통신진흥회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노황 사장과 뉴스통신진흥회 이사들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주주인 뉴스통신진흥회(진흥회)의 조성부 이사가 경영진 퇴진을 요구하며 26일 이사직을 사퇴했다. 전국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노조)는 이날, 박노황 사장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성매매 의혹 관련 보도를 막았으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박 사장 등 경영진과 이사진의 사퇴를 촉구했다.
옛 야당 추천 이사인 조 이사는 이날 오전 서울 공덕동 진흥회 사무실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연합뉴스는 벼랑 끝 위기다. (연합뉴스의 위기에는) 진흥회 책임도 크다”며 이사직에서 사퇴했다. 그는 “명예로운 퇴진으로 새로운 길을 열어 달라”며 다른 이사들의 동반 퇴진도 촉구했다. 진흥회는 연합뉴스 지분 30.77%를 가진 대주주로, 사장을 추천하고 관리·감독할 권한과 의무가 있다.
이날 오후엔 노조가 진흥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진흥회 이사진은 동반 사퇴하고, 경영진을 해임하라”고 요구했다. 진흥회의 방관 아래 연합뉴스 경영진이 편집권을 침해했고, 부당인사 등을 자행했다는 게 노조의 지적이다.
노조는 또 특보를 내어, 지난 4월 검찰이 이건희 회장의 성매매 의혹 관련 수사를 마무리했다는 단독기사를 사회부에서 작성했으나 박 사장이 사회부장에게 전화해 보도를 못하도록 부당개입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박 사장은 (사회부장에게) 삼성의 언론 광고 현황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며 “(전화 이후) 기사가 보류됐다가 기자들의 반발로 뒤늦게 나갔지만, 민감한 표현이 빠졌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문호 진흥회 이사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말하는 게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박 사장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퇴진 언급은 하지 않은 채 “부족한 부분은 반성한다”고 밝혔다. 보도 개입 논란을 두고는 “전화로 삼성 광고 이야기를 안 했다”며 “새로운 사실이 하나밖에 없어서 스토리로 쓰면 좋겠다고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금 진흥회 이사진 구도에서 박 사장이 해임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3년 임기의 진흥회 이사진은 국회가 3명(국회의장·여당·야당), 대통령이 2명, 한국신문협회·한국방송협회가 각 1명씩을 추천해 구성되는데, 현재 이사진은 2014년 말 꾸려져 옛 여권 추천 이사가 4명에 이르기 때문이다. 이들의 임기는 12월말 종료되지만, 노조는 조기 퇴진과 공정한 새 이사진 구성을 촉구하고 있다.
글·사진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