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가 사라졌다. 중앙일보 계열의 제이티비시플러스는 발행하던 잡지 8개 가운데 4개를 순차적으로 폐간했다. 라이센스 잡지(외국 잡지와 판권계약을 맺고 한국판으로 발행하는 것) <엘르> <바자> <에스콰이어> <코스모폴리탄>은 남고 <헤렌>, <인스타일>, <쎄씨>, <여성중앙>이 폐간됐다. 제이티씨플러스 관계자는 <미디어오늘>에 “폐간이 아니라 휴간”이라고 말했다. “잡지 시장 경기가 좋아지고 경영 상황이 바뀌면 다시 복간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잡지 시장 경기가 좋아지면 복간을 시킨다고? 이미 잡지 시장에 겨울은 왔다. 일간지와 디지털 미디어에 겨울이 왔다면 잡지 시장에는 빙하기가 왔다. 복간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지만 이건 폐간이나 다를 바가 없다. <쎄씨> 편집장 등 기자 여러 명은 권고사직을 요구받았다. 제이티비시플러스 직원 한 명은 사옥에 대자보를 붙였다. “‘콘텐츠 하우스’라고 하는 이곳에서 우리는 콘텐츠에 대한 일말의 존중도 찾아보기 힘들다”는 절규였다. 대자보는 금방 떨어져 나갔다. 소식을 전하는 매체는 몇 없었다.
<쎄씨>는 상징적인 잡지였다. 1994년 10월 창간한 이 여성 잡지는 엑스세대의 어떤 바이블이나 마찬가지였다. 미국에서 건너온 라이센스 잡지들이 폭발적으로 생겨나던 시절에도 <쎄씨>는 고고하게 시장에서 버텼다. 이곳 출신들은 다른 회사에서 중역을 맡거나 잡지사를 차리기도 했다. 그 잡지 출신들은 악명높은 일중독자에 일도 잘하기로 유명했다. <여성중앙> 역시 상징적인 잡지였다. 나는 어머니의 “<여성중앙> 하나 사 와라”라는 심부름을 매달 해야했다. 그것은 우리 어머니 세대의 라이프 스타일 바이블이었다. 얼마전엔 다른 잡지에서 일하는 후배 하나가 메일을 보냈다. 회사 자금 사정으로 인해 원고료가 조금 늦게 들어올 수 있다는 양해와 사과의 메일이었다. “편집팀도 반은 전투 모드”라는 말이 가슴을 쳤다.
뉴요커라면 너무나도 익숙한 주간지 <빌리지 보이스>가 문을 닫았다. 창간 63주년 만의 일이다. 이미 1년 전에 디지털화를 시도했지만 결국 매체를 계속 지탱할 만큼의 돈을 벌 수가 없었던 것이다. 발행인은 8월31일 “재정적 문제로 발행을 완전히 중단한다”고 밝혔다. 그런데 여기서 한국의 폐간 기사들과는 다른 부분을 발견했다. 그건 폐간을 하더라도 잡지의 영속성을 지키려는 시도다. <빌리지 보이스>의 마지막 직원들은 다음 세대가 계속해서 빌리지 보이스의 컨텐츠들을 볼 수 있도록 지면 전체를 아카이빙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렇게 물을 수 밖에 없다. <쎄씨>는? <여성중앙>은?
김도훈 허프포스트코리아 편집장
나는 2년 간 이라는 비(非) 라이센스 남성지의 디렉터로 일하며 많은 기사를 썼다. 잡지는 내가 퇴사하고 얼마 있지 않아 사라졌다. 누구도 아카이빙은 하지 않았다. 홈페이지는 사라졌다. 한국은 잡지를 그냥 없애버린다. 그리고 역사를 버린다. 수십년이 된 잡지의 아카이브는 인류의 유산이다. 나는 잡지의 전성기가 다시 오리라 쉬이 예견하지 못한다. 하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건 그 많은 정보의 아카이빙이다. 잡지는 사라질 수 있다. 물성에의 매혹은 사라질 수 있다. 콘텐츠는 남아야 한다. 그것은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잡지들을 휴간시키고 폐간시키는 콘텐츠 회사들이 마지막까지 지켜야 할 책임이자 긍지다.
김도훈/허프포스트코리아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