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으로 사회적 비대면 방식이 늘어나는 가운데 유튜브, 에스엔에스(SNS) 등을 통한 허위정보가 쏟아지면서 디지털 미디어 이용과 제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미디어교육 활성화 방안이 나왔다.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7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본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의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안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오티티(온라인 동영상서비스), 에스엔에스 등 디지털 미디어 이용이 급증하며 비대면의 편의성 뒤에 허위조작정보와 사이버폭력 등 역기능도 증가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특히 국가 방역정책에 맞선 허위정보로 인해 정책에 대한 신뢰가 훼손되고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에 따라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확대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 강화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강화 △배려·참여의 디지털 시민성 확산 등 4대 전략과제를 추진한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비대면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전 국민이 갖출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하는 한편, 미디어교육 혜택에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금도 방통위 산하 시청자미디어재단에서 지역 센터별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교에서도 시행하고 있지만 앞으로 더 폭넓게 지원한다는 취지다. 허위조작정보 판별 역량, 비판적 정보 습득을 위한 미디어교육 지원을 확대하고 미디어 관련 시설·단체와 연계한 미디어교실도 운영한다. 또 정부부처도 디지털 공동체 실현을 위해 부처간 소통과 공유, 협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안의 큰 특징은 교육 사각지대를 없앤다는 점이다. 그동안 청소년과 성인 중심으로 이뤄진 교육이었다면 앞으론 장애인·다문화가정 등 사회적 약자와 소수계층까지 소외되지 않는 데 역점을 둔다. 방통위는 이날 “모든 국민이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대에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미디어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과 농·산·어촌 등 상대적으로 교육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운 지역과 계층엔 찾아가는 교육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인 가구 증가와 모바일을 통해 미디어 이용행태가 변화하는 점도 주목했다. 유튜브 등 플랫폼이 발달하며 1인 미디어가 급성장하는 추세에 디지털 시민으로 권리와 책임을 다할 수 있는 디지털 시민 역량 강화에도 힘을 쏟겠다고 했다. 방통위는 “전통적 시민성은 규칙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는 데 반해 디지털 시민성은 지능정보사회 특성을 고려한 합리성과 도덕성, 유연한 능동적 참여에 무게를 두는 것이”라며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로 초상권, 저작권, 개인정보보호 등 정보윤리교육 등을 통해 건강한 디지털 공동체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