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들이 신문 제작 관행을 바꾸고 통합적인 뉴스 생산을 위해 에디터-팀제를 잇따라 도입하거나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한겨레> 편집국 모습.
중앙 2006년초 전면실시…한겨레·경향 2월 시행 검토
“기사 질 높이고 멀티미디어 뉴스 생산 위해 필요”
“기사 질 높이고 멀티미디어 뉴스 생산 위해 필요”
<중앙일보>는 최근 인사에서 8명의 에디터와 2명의 부에디터, 14명의 데스크 발령을 냈다. 이번 인사는 <중앙>이 90년대 이후 꾸준히 실험해온 에디터-팀제를 ‘에디터-데스크제’로 틀을 바꿔 전면 실시한 것이다. 길정우 <중앙> 전략기획팀 이사는 “애초엔 팀제를 실시하려 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이 있어 좀더 규모가 큰 에디터제부터 시행해보겠다는 것”이라며 “이번 제도는 ‘에디터 중심제’로 보면 된다”고 밝혔다. <중앙>은 권한이 취재지휘와 데스킹에 한정된 기존 부장과 달리 에디터의 권한을 취재·데스킹뿐 아니라, 지면 제작과 인사, 업무평가, 연봉결정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한겨레>와 <경향>도 에디터-팀제를 2월 시행을 목표로 지난해 말부터 검토중이다. 신문에서 왜 에디터-팀제인가? 근본적으로는 신문 제작 관행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많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기자 출신 교수는 “부장들이 취재지휘나 데스킹에 몰두하고, 정작 전체 지면은 주목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문이 좋아지지 않는다”며 “에디터들이 신문의 방향, 기획기사, 종합면 구성에 집중해야 신문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작은 문제점이 있더라도 과감하게 에디터제로 가야 한다”며 “에디터제를 도입하면서 좋은 기사에 대한 개념도 바꾸고 속보 낙종의 두려움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매체 환경에서 통합적인 뉴스 생산을 위해 에디터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사승 숭실대 교수는 “기존 부장이 취재와 기사작성 등 뉴스 전반 작업에 치중했다면, 에디터는 편집과 사진, 디자인, 제목달기, 교열 등 뉴스 후반 작업을 통합적으로 운영한다”며 “디지털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생산을 위해서는 에디터를 도입하고 뉴스룸을 통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실제 에디터제를 적용하는 신문사에서는 아직 실용적인 목적이 강해 보였다. <중앙>의 김수길 편집인은 취임사에서 “‘초짜’가 만드는 신문이 아니라 프로들이 자기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고 일하는 뉴스룸 체제를 구축하겠다”며 “그래야 기자의 수명이 길어져 직책에 관계없이 장래를 불안해하지 않고 함께 일해나갈 수 있다”고 말해 ‘전문성’과 ‘일나누기’가 주요 과녁임을 밝혔다. <경향>의 김하균 신문혁신팀장은 “먼저 국장-부국장-부장-차장-팀장-기자의 복잡한 제작 단계를 줄여 더 많은 기자들이 현장에 나가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며 “에디터가 권한과 책임을 갖고 담당 지면을 독립적이고 창조적으로 만들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에 도입된 에디터-팀제가 반드시 성공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국민일보>의 경우 지난 2005년 1월 에디터제를 실시했다가 9월 후속 조처인 팀제 도입을 포기하고 모든 것을 원점으로 돌렸다. <국민>의 경우 부 체제를 유지한 채 에디터를 둬 ‘옥상옥’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국민>의 박현동 당시 조직개편 팀장(현 사회부장)은 “이 제도에선 에디터의 역량이 매우 중요한데, 그렇게 훈련된 인력이 부족했고, 에디터와 팀장의 역할이 혼동되기도 했다”며 “팀은 살아났으나 팀간에는 새로운 벽이 생겼고, 작은 팀으로 가면 사람이 부족했고 큰 팀으로 가면 부서와 비슷해졌다”고 문제점들을 짚었다. 박 당시 팀장은 “에디터-팀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기 회사 인력자원의 양과 질을 잘 평가하고 에디터와 팀장이 서로의 일을 이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민규 중앙대 교수도 “미국의 에디터제는 편집국장에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해 에디터가 담당 팀과 지면에 대해 전권을 갖는 소편집국장 제도”라며 “조직 개혁 강박이나 인사 적체 해소 차원이 아니라 신문의 품질과 전문성을 높인다는 분명한 계획을 갖고 접근해야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