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무진도' 실감 콘텐츠.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 국립중앙박물관은 23일 디지털실감영상관 개관 2돌을 맞아 조선 후기 걸작 산수화 ‘강산무진도’를 주제로 제작한 실감 콘텐츠 ‘강산에 펼친 풍요로운 세상, 강산무진도’를 공개했다. ‘강산문진도’는 단원 김홍도와 함께 활동한 궁중 화원 이인문이 그린 8.5m 길이의 대작이다. 인터랙티브 실감 콘텐츠 ‘조선시대 초상화’와 신규 디지털 콘텐츠 7종도 새롭게 선보였다. 누리집(museum.go.kr/site/main/home) 참고.
◇ 한국지방신문협회는 지난 19일 제67차 정기총회를 열고 제10대 회장으로 박진오 강원일보 사장이 선임했다. 한국지방신문협회는 강원일보, 광주일보, 경남신문, 경인일보, 대전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 전북일보, 제주일보 등 전국 9개 지역 대표 신문사로 구성돼 있다.
박재갑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 서울대병원 의학박물관은 25일부터 새달 30일까지 ‘암박사' 박재갑(74)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가 개발한 한글 글꼴을 소개하는 특별전 <개원칙서(開院勅書)에서 한글재민체(韓契在民體) 3.0으로>를 연다.
◇ 한양대 총동문회는 지난 19일 정기이사회와 총회를 열고, 제20대 회장으로 손용근 법무법인 동인 파트너변호사 겸 전 사법연수원장, 한양대 석좌교수를 연임했다.
◇ 한국조사연구학회는 오는 27일 ‘2022 한국갤럽학술논문상’ 시상식을 연다.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이은주·김현석 교수와 최순욱 박사과정 연구생 등이 우수상을 받는다.
◇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3일 최근 이사회를 열어 제8대 이사장으로 서울대 의대 내과학교실 신찬수 교수를 선출했다. 새달 1일부터 2년 임기.
◇ 제주올레(이사장 서명숙)와 락앤락(대표 김성훈ㆍ김성태)은 오는 9월 30일까지 다회용 플라스틱 밀폐용기를 수거해 제주올레 길에 공공벤치와 쉼터를 만드는 ‘2022 러브 포 플래닛’(Love for planet) 캠페인을 하고, 서귀포시 동홍동과 대천동 재활용센터, 제주올레 15곳 공식안내소에 밀폐용기 수거함을 설치할 예정이다.
◇ 한국메세나협회(회장 김희근)는 지난 20일 ‘국제음악콩쿠르 출전 지원사업’의 하나로 ‘2022 반 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 본선 진출자 4인(김홍기, 박진형, 신창용, 임윤찬)에게 각각 300만 원과 후원 증서를 전달했다.
왼쪽부터 이수연 홀트아동복지회 회장과 최현규 한국콜마 대표이사. 한국콜마 제공
◇ 한국콜마(대표이사 최현규)는 지난 20일 미혼한부모 가정을 위한 홀트아동복지회의 ‘심리 상담프로그램’을 후원하고, 문화소외계층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해 세종시 전의면에 위치한 전의청소년문화센터에 340만원 상당의 악기를 지원했다.
왼쪽 셋째부터 장동석 명예교수와 장영수 총장. 부경대 제공
◇ 부경대(총장 장영수)는 23일 장동석 명예교수로부터 모교 발전과 식품영양학과 인재 양성을 위한 발전기금 5천만원을 전달받았다. 부경대의 전신 부산수산대를 졸업한 장 교수는 국립수산진흥원에서 근무하다 식품공학과 교수로 부임해 30여 년간 재직한 뒤 지난 2005년 정년 퇴임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원이자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이다.
◇ 부산도서관은 23일 원로 기업인 차상목씨로부터 일본 도서 3만600권과 국내 도선 2400권을 기증받아 한국과 관련된 도서를 새달부터 약 2달 동안 도서관 3층 부산애뜰에서 전시한다. 1927년 평북 철산에서 태어나 한국전쟁 때 부산에 정착한 그는 봉제무역업을 하다 1990년 은퇴한 이후 일본 도서를 수집했다.
◇ 대홍기획은 지난 20일 사내 그림 그리기 동호회인 ‘그림판’을 비롯해 자회사 임직원 20여 명과 함께 서울 용산구 용암초등학교에서 벽화 그리기 재능기부 활동을 했다.
◇ 수원시립공연단은 새달 17∼19일 수원SK아트리움 소공연장에서 연극 <해피버스데이>를 선보인다. 두 모녀가 오해와 상처를 걷어내고 성장하는 내용으로 가족의 소중함과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예매는 누리집(ticket.interpark.com). (031)267-1644.
◇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은 24일부터 새달 23일 오후 6시까지 ‘2022학년도 2학기 국가장학금’ 신청을 받는다. 기초생활수급자 구간부터 8구간까지 지원 대상이며, ‘Ⅰ유형'과 다자녀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이 아닌 소득 9구간 학생들은 국가장학금 ‘Ⅱ유형'에 지원할 수 있다. 신청자는 새달 27일 오후 6시까지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와 서류 제출을 완료해야 한다. 누리집(kosaf.go.kr) 참고. 1599-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