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섬 정책은 섬에 실제로 사는 주민, 그들과 가장 가까운 이웃인 섬활동가들과 함께 결정해 추진하도록 해야 합니다."
9일 국회에서 ‘제1회 한국 지속가능 섬 포럼’을 여는 섬연구소 강제윤 소장은 “올해로 13년째 전국의 섬 400여개를 두 발로 답사하면서 내내 구상해온 ‘섬 정책 네트워크’와 ‘섬 정책 컨트롤 타워’ 설립을 위한 첫 걸음”이라고 설명했다.
‘보길도 시인’으로 먼저 이름을 알린 그는 2005년 고향를 떠나 전국의 유인도 500개를 모두 답사하고자 ‘나그네’ 생활을 하고 있다. <섬을 걷다> <통영은 맛있다> 등 수많은 기행 에세이를 펴내며 ‘섬 알리미’를 자처해온 그는 3년 전부터 사단법인 섬연구소를 열어 그 자신 '섬 지킴이 활동가'로 나섰다.
“그나마 남아있는 삶의 기억과 흔적을 보존하고, 외부의 개발 압력과 해양생태계의 훼손을 막아 섬의 문화원형과 진정한 가치를 어떻게 지켜낼 것인지, 혼자서 해온 고민을 더 늦기 전에 공론화해서 지혜를 모으려고 합니다. 공무원, 교수나 전문가 집단에서 정책을 세우고, 주민들에게 설명하는 일방통행식 행정이 아니라,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통로가 절실합니다.”
강 소장은 “현재 정부 부처의 섬 관련 사업은 259건으로, 모두 2조7천억의 예산이 잡혀 있지만 부처간 협의없이 행안부, 문체부, 해수부, 환경부, 농림부, 국토부, 산림청, 산자부, 산림청 등에서 독자적으로 추진 중”이고, “지자체마다 개별적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사례도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포럼을 통해 ‘섬활동가 포럼’을 결성해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소통 통로를 만들고, 정부의 섬정책 통합조직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날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리는 포럼은 이런 섬연구소의 제안을 행안부에서 받아들여 마련된 자리다. 행안부·통영시·신안군 등 정부 부처와 지자체, 국회 진선미(더민주당 서울 강동구갑)·서삼석(더민주당 전남 신안·무안) 의원 등이 함께 후원한다.
주제발표자로는 윤미숙 전라남도 섬가꾸기 전문위원, 김소은 섬연구소 이사(전 제주관광공사 연구위원), 김준 광주전남연구원 연구위원이 나선다. 또 전국 각 지역 섬 주민, 섬활동가, 행안부 지역균형발전과장, 국토부 지역정책과장 등이 토론자로 참가한다.
김경애 기자
ccando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