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빈 민스키 MIT 교수. 사진 연합뉴스
마빈 민스키 MIT 교수 별세…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운동도 앞장
‘인공지능’(AI) 연구의 선구자인 마빈 민스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별세했다. 향년 88.
그가 24일(현지시각)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뇌출혈로 숨을 거뒀다고 25일 <뉴욕 타임스>가 전했다.
민스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슈퍼컴퓨터가 출현하기 이전 시절부터 컴퓨터의 상식추론(CR) 가능성을 보여주며 인공지능 연구의 기반을 다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수학을 전공하던 하버드대 대학원 시절부터 인간의 지능과 사유에 관한 수수께끼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인간 사유 과정과 기계 간에 차이가 없다고 생각했다. 1950년대 초 인간 심리 과정의 특성을 연구해 기계에 지능을 부여하는 이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그는 59년에는 매사추세츠공대에서 동료인 존 매카시 교수와 함께 ‘인공지능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매카시 교수는 ‘인공지능’이라는 말을 처음 만들어낸 인물이다. 이듬해 이 프로젝트는 매사추세츠공대 인공지능연구소가 됐다. 인공지능연구소는 인공지능 분야 외에도 현대 컴퓨터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디지털 정보는 자유롭게 공유되어야 한다는 이른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운동’의 씨를 뿌렸다. 이런 생각은 인터넷의 원형으로 불리는 ‘아르파넷’(ARPA) 탄생에 기여했다.
민스키는 현대 로봇공학 발전에도 공헌했다. 그는 51년 최초로 무작위 신경망 학습 기기인 ‘스나크’(SNARC)를 만들었다. 프린스턴대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은 그였지만,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다. 훌륭한 피아니스트였으며 푸가를 연주할 수 있을 정도였다. 그는 85년 컴퓨터과학자인 시모어 페이퍼트 교수와 협력연구 결과를 담은 <마음의 사회>를 펴냈다. 이 책에서 두 학자는 “지능은 단일한 기제의 산물이 아니며 여러 요소의 다양한 상호작용”이라고 주장했다. 이 주장에는 인간과 기계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는 없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일찍이 68년에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를 제작하던 스탠리 큐브릭 감독이 “2001년이 되면 컴퓨터가 뚜렷하게 말을 할 수 있다는 게 그럴듯하다고 보는가”라고 민스키에게 자문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그의 이름이 유명해졌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