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방조제로 인해 말라 죽은 조개들
지구의 생태 위기를 극복할 대안은 없는가?
인간 세계에선 약소 민족과 유색 인종을 정복해 노예화하고, 지구상에선 인간 중심주의로 자연을 정복하며 황폐화시켜 결국 지구 공멸로 치닫게 한 서구 문명을 극복할 대안을 ‘불교’에서 찾기 위한 국제학술회의가 열린다.
불교계에선 세계 최대의 종합대로 꼽히는 동국대가 건학 100돌 기념으로 오는 25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중구 필동3가 교내 문화관에서 ‘지식 기반사회와 불교생태학’ 대회를 연다.
이번 대회를 주관한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의 박경준 원장은 “불교 사상을 통해 환경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대안적 세계관과 구체적 실천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불교학이 담담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라며 대회 취지를 밝혔다.
자연 황폐화 초래한 서구문명 대안 모색
동국대 100돌 기념 국제학술회의 25일부터
동국대는 불교적 가치관과 삶의 양식으로 지구의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수년간 학술세미나와 에코 포럼을 개최하고, 미국 하버드대와 영국의 런던대 등과 공동학술대회를 열며 불교생태학의 새 지평을 열어왔다.
이번 대회는 25일 오전 10시 동국대 예술극장에서 개회식에 이어 4개 분과별로 진행된다. 25일 1분과인 ‘지식기반사회와 환경문제’와 2분과인 ‘불교생태학과 서구 사상’, 26일 3분과인 ‘불교생태학의 학제적 접근’과 4분과인 ’미래사회의 평화와 불교생태학’을 주제로 한 회의가 각각 열린다. 주제 발표자들은 26일 오후 4시부터 예술극장에 모여 종합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조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동국대 100돌 기념 국제학술회의 25일부터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