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후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한 생명평화미사’가 열린 서울 명동성당 본당에서 미사를 집전할 사제들이 수녀와 신도들 사이로 걸어들어오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운동권 목사·신부’ 아닌 ‘교단 공조직’이 앞장
1990년대 이후 ‘교회·사찰 환경운동’이 밑거름
1990년대 이후 ‘교회·사찰 환경운동’이 밑거름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한 반대운동이 천주교, 기독교, 불교, 원불교 등 종교계에서 그칠 줄 모르고 확산되고 있다. 이런 반대 열기에는 생명을 보전하고 물질적 가치를 지양하는 종교 본연의 성격과, 1990년대부터 성장한 종교환경운동이 밑거름이 됐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 커지는 반대 목소리 천주교 주교회의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옛 KNCC), 조계종 환경위원회를 비롯해 원불교 교무 100여명 등 교단의 ‘공조직’이 4대강 사업 반대 입장을 낸 것이 기폭제가 되면서, 종교계에서는 대규모 미사와 연합예배, 수륙대재 등 다양한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10일 서울 명동성당 본당에서 열린 미사에는 5000여명의 사제·신도가 모여 한목소리로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11일 공권력 투입이 예정된 경기 양평군 두물머리 유기농단지에서는 신부와 목사들이 모여 밤샘기도를 하고, 24일에는 경기 여주군 신륵사에서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하는 4대종단 종교인 기도회’가 열릴 예정이다.
종교계의 이런 4대강 반대운동은 6·2 지방선거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10일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한 천주교 사제·수도자들은 “투표를 통해 4대강 사업에 대해 분명히 심판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종교계가 왜? ‘선거를 통한 심판’을 얘기했지만, 종교계의 4대강 접근 방식은 ‘정치논리’가 아닌 ‘종교논리’에 가깝다. 지난달 26일부터 서울 명동성당에서 이어진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하는 생명평화미사’는 10대에서 60대까지, 친구에서 가족까지 매일 150~200명이 참석해 일반 성당의 미사 모습과 다르지 않았다. 정부 정책을 반대하는 ‘시국미사’임에도, 참석자들은 ‘생명의 강을 살려달라’고 기도했다.
이런 현상에 대해 양재성 목사(기독교환경운동연대 사무총장)는 “생명을 보전하고 살리는 일이 종교의 본연이기 때문”이라며 “그동안의 생명파괴와 개발주의를 참회해도 모자랄 판인데, 4대강 개발을 강력히 추진하는 걸 두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종교계가 적극적으로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운동권’ 목사나 신부가 ‘4대강 전선’의 주류가 아니라는 점도 시사적이다. 천주교만 해도 정의구현사제단은 뒤에 빠져 있고 주교회의 산하기구인 환경사목위원회와 정의평화위원회가 전면에 나서 있다. 맹주형 서울대교구 환경사목위원회 교육부장은 “4대강 반대운동을 이끄는 신부들은 ‘운동’과는 거리가 있는 분들”이라며 “중간 잠정집계 결과 4대강 반대 서명자만 30만명에 이르는 등 천주교의 반대 열기는 종교적 차원으로 보면 된다”고 밝혔다. 신도들의 광범위한 참여의 밑바탕에는 1990년대 이후 성장한 환경운동이 자리하고 있다. 기독교의 녹색생활운동, 불교의 생명살림운동 등 생활환경운동은 교회와 사찰에서 이미 일상화됐다. 보수적인 대형교회에서도 중고장터, 유기농 장려 등 친환경운동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양재성 목사는 “4대강 반대운동엔 개별 교회의 녹색활동이 기본적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교인들의 환경적인 인식이 일반인보다 깨어 있다” 고 말했다. 한때 천주교 내부에서 ‘4대강 반대운동은 종교가 정치에 개입하는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지만, 4대강 반대운동이 종교적 차원의 생명운동이라는 주장 앞에서 호응을 얻지 못하고 수그러들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운동권’ 목사나 신부가 ‘4대강 전선’의 주류가 아니라는 점도 시사적이다. 천주교만 해도 정의구현사제단은 뒤에 빠져 있고 주교회의 산하기구인 환경사목위원회와 정의평화위원회가 전면에 나서 있다. 맹주형 서울대교구 환경사목위원회 교육부장은 “4대강 반대운동을 이끄는 신부들은 ‘운동’과는 거리가 있는 분들”이라며 “중간 잠정집계 결과 4대강 반대 서명자만 30만명에 이르는 등 천주교의 반대 열기는 종교적 차원으로 보면 된다”고 밝혔다. 신도들의 광범위한 참여의 밑바탕에는 1990년대 이후 성장한 환경운동이 자리하고 있다. 기독교의 녹색생활운동, 불교의 생명살림운동 등 생활환경운동은 교회와 사찰에서 이미 일상화됐다. 보수적인 대형교회에서도 중고장터, 유기농 장려 등 친환경운동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양재성 목사는 “4대강 반대운동엔 개별 교회의 녹색활동이 기본적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교인들의 환경적인 인식이 일반인보다 깨어 있다” 고 말했다. 한때 천주교 내부에서 ‘4대강 반대운동은 종교가 정치에 개입하는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지만, 4대강 반대운동이 종교적 차원의 생명운동이라는 주장 앞에서 호응을 얻지 못하고 수그러들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