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 스님과 김수환 추기경이 서울 길상사에서 만나 합장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대화문화 아카데미 제공
강원용 목사·김수환 추기경·법정 스님 종교간 벽 넘어 친분
“불교 대자대비·기독교 사랑 화합할 때 인류에 희망줄 것”
“불교 대자대비·기독교 사랑 화합할 때 인류에 희망줄 것”
“먼저 이곳까지 인도해 주신 주님의 뜻에 감사드립니다.”
3일 오후 4시 서울 신촌 연세대 백양관에서 이런 인사를 올릴 인물은 기독교인이 아니다. 법정 스님의 조카뻘인 현장 스님이다.
개신교 교수들의 모임인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회장·이정배 감신대 교수)가 여는 이날 콘퍼런스엔 법정 스님과 김수환 추기경, 강원용 목사 등 각기 다른 종교의 세 인물이 등장한다. 콘퍼런스 주제가 ‘세 명의 거인들이 바라본 이웃종교의 같음과 다름’이다. 전남 순천 송광사 뒤 불일암에서 법정 스님의 시자로 승려 생활을 시작한 현장 스님이 법정 스님을, 김수환 추기경의 종교 화합 뜻을 받들어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사무총장 등으로 활약한 변진흥 ‘가톨릭대 김수환추기경연구소 부소장’이 김 추기경을, 강원용 목사가 일군 경동교회의 담임목사직을 잇고 있는 박종화 목사가 강 목사를 각각 조명한다.
현장 스님이 ‘주님의 뜻에 감사’하는 것으로 발표를 시작하기로 한 것도 법정 스님이 기독교 쪽의 초청에 응할 때마다 했던 것을 본뜬 것이다. 미리 엿본 이들 세명의 원고를 토대로 세 거인의 삶과 철학을 재구성해본다.
강원용 목사는 자기 종교에 대한 분명한 정체성을 가지고, 다른 종교에 대해서도 인정하고 배우는 겸손의 자세를 강조했다. 생명과 평화를 위해 함께함을 중시했던 강 목사는 다종교인 한국 사회에서 ‘종교간 이해와 화해’의 시대를 연 선구자였다.
젊은 시절 강 목사와 함께 종교간 대화의 물꼬를 튼 이후 법정 스님은 1974년 불일암 은둔에 들어갔지만 그리스도인들과의 친분은 계속됐다. 법정 스님이 김 추기경뿐 아니라 이해인 수녀를 비롯한 많은 가톨릭 수도자들과 친분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이웃종교인을 불자에 비해 전혀 차별하지 않을 만큼 열려 있기 때문이었다. 법정 스님은 상(相)에 얽매이지 않은 불교수행자답게 관세음보살과 성모 마리아의 차별을 넘어섰다. 이미 1970년대 초 서울 강남 봉은사 다래헌과 조계산 불일암에 머물 때 서가 한편에 성모상을 모셔두고 촛불 공양을 올리곤 했고, 길상사의 관음보살상을 가톨릭미술가협회 회장이던 최종태 서울대 교수에게 조각하도록 요청해 조성했다. 이 관음상은 이마 위에 보관을 쓰고 왼손에 감로보병을 든 전형적인 관음상이면서도 깊은 슬픔에 잠긴 성모마리아의 분위기를 물씬 풍겨 ‘마리아 관음상’이란 별칭으로 불리고 있다. 법정 스님은 ‘부처님 오신 날’의 연등 수익금 10%를 서울가톨릭복지회에서 운영하는 ‘성가정 입양원’의 후원기금으로 기탁했다.
법정 스님의 다비식장에 나타난 한 가톨릭신자 교수의 고백은 법정 스님의 진면목을 다시 한번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문현철 초당대 교수는 가정 형편으로 학업을 잇기 어렵던 대학 시절 법정스님으로부터 남모른 도움을 받았는데, 가톨릭 영세를 받던 날 큰 교통사고를 당한 이후 법정 스님에게 ‘하느님이 어떻게 영세받은 날 교통사고를 나게 할 수 있느냐’고 불평하며 개종의 뜻을 밝혔을 때 “천주님은 그런 만화 같은 일을 하는 분이 아니고, 이런 아픔을 통해 더욱 성숙해지도록 힘을 주는 것”이라며 가톨릭 신앙을 지키도록 해주었다는 일화를 들려줬다.
김수환 추기경은 1956~63년 독일 유학 시절 이웃종교에 닫힌 창문을 활짝 열었던 교황청의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지켜보고 귀국해 가톨릭의 변화를 이끌었다. 김 추기경은 2000년 독립운동가이자 유학자인 심산 김창숙을 연구하는 심산사상연구회로부터 심산상을 받은 이후 심산의 묘소에 참배하면서 유교식으로 큰절을 올려 참석자들을 놀라게 했다. 김 추기경은 “유교나 천주교나 모두 ‘효의 종교’이지만, 그리스도교가 하느님 아버지께 대한 큰 효도를 바탕으로 부모께 대한 효를 하려는 하향적이고, 신본(神本)적이고 미래적인 성향인 데 비해 유교는 부모에 대한 효를 통해 천(天)에 대한 큰 효도로 올라가는 상향적이고 인본(人本)적이고 현재적 성향이 강해 상호 보완적”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김 추기경은 심산상 수상 강연 말미에서 “유교의 인(仁)사상, 불교의 대자대비사상, 그리스도교의 사랑 정신이 함께 손을 잡고 대자연의 생명을 해치고 동족 분단의 아픔을 겪는 이 땅에서 죽음의 문화를 생명의 문화로 변화시켜 갈 때 한국 민족은 환태평양시대에 명실상부한 ‘동방의 빛’으로 인류에게 희망과 위로를 주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전문은 휴심정(well.hani.co.kr) .
법정 스님이 크리스찬아카데미 운영위원으로 활동할 당시 강원용 목사와 환담하는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대화문화 아카데미 제공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전문은 휴심정(well.hani.co.kr) .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