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한국 사회문화…’ 조사
국회·정부·금융계보다는 높아
국회·정부·금융계보다는 높아
한국 사회에서 종교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대기업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가 지난 9월26일부터 10월15일까지 전국 16~69살 남녀 1512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사회문화 및 종교에 관한 대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5점 만점에 한국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도는 2.89였다. 분야별로는 종교계가 3.00으로, 의료계(3.22), 시민사회(3.22), 학계(3.16), 대기업(3.12), 교육계(3.01)보다 낮았다. 국회·정당(2.17), 정부·지방자치단체(2.48), 언론계(2.86), 금융계(2.88)는 아래였다.
각 종교에 대한 신뢰도는 가톨릭이 4.11로 가장 높았고, 불교(4.05), 개신교(3.34), 원불교(2.31), 이슬람교(1.20)가 뒤를 이었다. 자기 종교 지도자에 대한 신뢰도는 신부(4.91), 스님(4.83), 목사(4.64) 차례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서 종교 간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종교로는 개신교가 가장 많이 지목됐다. 응답자의 57.0%는 ‘종교 간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종교’로 개신교를 꼽았으며 그다음으로 불교(12.7%), 이슬람교(8.7%), 원불교(3.8%), 가톨릭(2.8%) 차례였다. 한국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이 높은 종교로는 개신교(53.2%)가 꼽혔고, 불교(23.7%), 가톨릭(17.6%) 차례였다.
종교정당을 통한 종교인의 정치참여에는 ‘매우 적절하지 않다’(26.0%), ‘다소 적절하지 않다’(25.5%), ‘적절하지는 않지만 그럴 수 있다’(35.1%) 등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당연한 일’ ‘매우 당연한 일’이라는 의견은 2.6%, 0.9%에 불과했다.
종교인에 대한 소득세 부과에는 ‘반대도, 찬성도 아니다’(32.5%), ‘찬성하는 편이다’(31.0%), ‘적극 찬성한다’(12.5%), ‘반대하는 편이다’(18.7%), ‘적극 반대한다’(5.2%) 등 찬성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조사 결과 전체 내용은 휴심정(well.hani.co.kr)
조현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