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려 신병 양도·군대 철수 등 촉구
중 대사관에 항의서한 전달 예정
중 대사관에 항의서한 전달 예정
조계종 입법부인 중앙종회 상임위원장단이 중국 정부의 티베트 탄압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중앙종회 7개 분과 상임위원장 전원은 지난 14일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1951년 티베트를 강점한 중국 정부는 60여년 동안 120만명에 이르는 티베트인들을 죽음으로 내몰았으며 종교 탄압 정책을 통해 발포와 무차별적인 구타로 티베트인들의 자유와 정신을 억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성명은 지금까지 중국 정부의 입장을 그대로 따르는 중국 불교와의 우호 관계와 한국 정부의 외교 노선에 편승해왔던 한국 불교계가 불교권 약자들의 인권을 대변하기 위해 전향적인 변신을 시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들은 사회분과위원장인 대오 스님이 읽은 성명서를 통해 “티베트에서는 2008년부터 최근까지 24명의 승려와 국민들이 소신공양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자유와 독립을 요구하며 목숨을 건 시위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성명에서는 이어 “중국 정부는 소신한 승려의 법구(주검)를 돌려달라는 시위대를 향해 총격을 가하는 등 반인륜적인 탄압을 자행하고, 시위 발생 지역의 전화, 인터넷 등 모든 통신수단과 도로를 통제하고 외국인 출입을 금지해 현지 소식을 철저히 차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상임위원장단은 “소신한 승려들의 신병 양도를 비롯해 주둔 군대의 조속한 철수, 양심수 석방, 승려에 대한 충성 강요 행위 및 강제 이주 정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또 “지난해 11월 한·중·일 불교대표단은 불교우호교류회의를 통해 생명과 평등, 평화, 지혜, 불국토가 되는 세상을 선언문에서 발원한 만큼 티베트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결의문 채택과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할 것”도 촉구했다. 이들은 “무력 탄압이 일어나고 있는 오늘의 티베트 현실을 묵과하고 3국의 불교 발전을 기원하는 것은 연목구어(산에서 물고기를 구함)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상임위원장단은 이 성명이 다음달 조계종 임시중앙종회에서 전체 결의문으로 채택되도록 노력하기로 했으며, 주한중국대사관을 방문해 항의 서한도 전달할 계획이다. 또 티베트 사태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불자 국회의원들을 동참시키기로 했다.
조현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정두언 “MB, 한나라 편 아냐…민주당 민다는 말 나오겠다”
■ 1년동안 ‘홀인원’ 6번이나?
■ 박원순 시장 “강용석, 영원히 정계 은퇴하라 ”
■ 60대 부부·30대 아들 ‘아사 추정’ 일가족 죽음에 충격
■ “자동차 연료절감기 효과 없다”
■ 정두언 “MB, 한나라 편 아냐…민주당 민다는 말 나오겠다”
■ 1년동안 ‘홀인원’ 6번이나?
■ 박원순 시장 “강용석, 영원히 정계 은퇴하라 ”
■ 60대 부부·30대 아들 ‘아사 추정’ 일가족 죽음에 충격
■ “자동차 연료절감기 효과 없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