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고승 보조지눌이 견성한 지리산 상무주암에서 홀로 32년째 수행중인 현기 스님. 현기 스님이 조계사의 대선사 법회에 초청받아 법문을 하고 있다.
지리산 은자 현기스님, 조계사 법회
2천여 대중 앞에 던진 화두
“우리의 본래 품성은 청정한데
마음이 혹하여 번뇌가 뿌리”
누군가 노승의 앞날 걱정하자
온갖 상념 단칼에 베어내듯
“일념이 여시(바로 지금 여기)”
2천여 대중 앞에 던진 화두
“우리의 본래 품성은 청정한데
마음이 혹하여 번뇌가 뿌리”
누군가 노승의 앞날 걱정하자
온갖 상념 단칼에 베어내듯
“일념이 여시(바로 지금 여기)”
지리산의 은자 현기(74) 스님이 상경해 서울 조계사에서 대중들과 상봉했다. ‘부처님 오신 날’(5월17일)을 앞두고, 선원수좌회가 4월24일부터 5월2일까지 9명을 초청해 여는 ‘대선사 법회’에서다.
길도 인적도 끊긴 지리산 1100 고지 상무주암에서 홀로 지낸 지 32년 만이다. 강산이 세번도 더 변했을 세월이다. 그 긴 세월 고향을 떠난 방랑자는 우리인가, 그인가.
“아이는 뭔가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생각이 나면 그것들을 쫓아 제 발로 어디든 걸어간다. 거기에 현혹돼 부모의 말도 들리지 않는다. 그렇게 밖으로 내달리기만 하다 보면 언젠가 부모와 헤어지고, 부모와 원수도 되기도 한다. 그래서 많은 고통을 겪는다. 춥고 배고픈 고초를 겪고 나면 부모와 고향이 그리워진다.”
우리가 버린 그 산골을 홀로 지킨 산승이 우리가 잃어버린 것을 상기시킨다. 온갖 세상사에 끌려다니느라 언제 떠나온지조차 까마득한 ‘마음의 고향’이다.
30여년 전과 달리 고층빌딩으로 둘러싸인 조계사 앞마당에서 태고적 고향을 이야기하는 그가 꿈을 꾸는 것인가, 내가 꿈을 꾸는 것인가.
“잠자리에서 잠을 자도 꿈을 꿔 천리만리 밖을 돌아다니는 게 생각이다. 꿈을 꾸다가 눈을 떠야만 꿈속 방랑을 그친다. 눈에 보이는 것, 귀에 들리는 것이 진실이라고 믿으면 강 속의 달이 진짜인 줄 착각하고 달을 건지겠다고 강물로 뛰어드는 것이다.”
천개의 강에 비친 달이 하늘에 뜬 달의 그림자이듯 지금 내가 실제라고 믿는 모든 것이 실은 상(相·모양이나 그림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런 상을 쫓아 밖으로 내달리는 마음을 잘라버리는 게 ‘화두’다. 형상에도 머물지 않고, 소리도 쫓지 않고, 생각조차 끊어진다면, ‘이 뭐꼬?’(‘이것이 무엇인가’의 경상도식 표현인 화두)
선사가 내리친 검에 온갖 유혹과 걱정을 따라 이리저리 방황하는 마음이 싹둑 베인 것인가. 2천여 대중이 가득 메운 조계사 마당이건만 직전의 그 마당이 아니다. 상념을 여의니 무념이고, 번다함을 놓으니 고요하고, 방랑을 쉬니 고향이다.
“우리의 자성(본래 성품)은 그처럼 청정한데, 마음이 미(迷·미혹함)해서 번뇌가 뿌리 없이 일어나는 것이다.”
땅은 원래 비어 있건만, 콩씨를 던지면 콩이 자라고, 팥씨를 던지면 팥이 자란다는 것이다. 이처럼 무엇이든 인연 따라 일어났다가 사라질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나타났다가는 사라지는 ‘바깥 경계’에 끌려다니지 말라는 것이다.
화두선의 묘미를 세상에 전하려는 선원수좌회(선승들의 모임)의 간곡한 요청을 뿌리치지 못한 그는 법석에서도, 법회 뒤 한 간담회에서도 지리산에서와 다름없이 시종일관 ‘고향’을 떠나지 않았다.
그는 ‘온갖 세파 속에서 살아가는 속인들이 어떻게 산승처럼 수도를 할 수 있겠느냐’는 물음에 이렇게 답했다.
“세상이 무상(허망하게 변함)하고 고통이 있기에 공부(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니 ‘세상 탓, 상황 탓 말라’는 것이다. 그 세상, 그 상황이 바로 공부심의 근원이라는 것이다. 진흙 속에서도, 불속에서도 연꽃을 피울 수 있는 것이 불교 공부의 묘미라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산 속에서 어떻게 지내느냐’는 질문엔 “철저하게 살지 못해 부끄럽다”고 말했다. 그러나 솥뚜껑처럼 군살이 박인 손이 매일 새벽 2시40분이면 기상해 수도하고 직접 밥하고 빨래하고 밭을 일구는 삶을 숨길래야 숨기지 못한다.
누군가 고지에서 홀로 사는 노승의 앞날이 걱정스러운 듯 ‘앞으로는 어찌할 것인가’를 묻자, “일념(한 생각)이 여시(如是·바로 지금 여기)”라고 했다. 과거에 대한 걱정도 미래에 대한 불안도 베어내는 날카로운 검이다. 잇속을 따라 기웃대는 욕망도 베어내고, 현실을 외면하는 비겁도 베어낸다. 그 칼날에 대중은 우레와 같은 박수로 환호했다. 잃어버린 고향을 찾은 듯이, 이산가족을 상봉하는 것처럼. 선법회에서 쉽사리 찾아보기 어려운, 희유한 광경이다. ‘부처님 오신 날’은 언제이며, 부처는 어디에 있는가. 대중들이 마음을 쉬니, 날마다 ‘부처님 오신 날’, 사람마다 부처다.
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진상짓 천태만상… 당신은 떳떳하신가
■ 레알 마드리드 모리뉴 감독 다음 시즌은 첼시에서?
■ 안철수, 민주 지도부 찾아…무슨 대화 나눴나?
■ 류현진 ‘3승’ 달성…탈삼진만 ‘12개’
■ [화보] 류현진, ‘시건방춤’ 응원이 통했나
■ 진상짓 천태만상… 당신은 떳떳하신가
■ 레알 마드리드 모리뉴 감독 다음 시즌은 첼시에서?
■ 안철수, 민주 지도부 찾아…무슨 대화 나눴나?
■ 류현진 ‘3승’ 달성…탈삼진만 ‘12개’
■ [화보] 류현진, ‘시건방춤’ 응원이 통했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