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용 인문기학연구소장
[휴심정] 나를 울린 이 사람
“그의 계급은 상병, 이름은 차재욱! 그립고 보고 싶다”
“그의 계급은 상병, 이름은 차재욱! 그립고 보고 싶다”
5·18 광주민주항쟁 이후 교도소 안에 갇혀 있던 당시 투옥과 고문으로 심신은 지칠 대로 지쳤다. 교도소 밖에서 들려오는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차량의 굉음이 마치 돌아갈 수 없는 세계의 아우성 같았다.
밤이면 장난처럼 자행되는 계엄군의 구타와 폭언은 스물한살 청춘이 감당하기엔 너무나도 힘든 공포와 충격 그 자체였다. 군인들이 내뱉는 비속어와 은어 자체를 이해 못해 수없이 구타당하기도 했다. 생지옥이 따로 없었다. 그곳은 창문 하나 없는 창고였다. 안쪽 한 귀퉁이에 임시로 설치한 소대변통에서 풍기는 악취 때문에 더운 날엔 군인들도 들어오길 꺼렸다.
그렇게 한달여를 세수는커녕 씻지도 못하고 지내다 보니 피부병의 일종인 전염성 강한 ‘옴’에 걸리고 말았다. 나는 다른 수감자들과 격리되었고, 곧이어 다른 곳으로 이송되었다. 그곳 역시 여건은 별반 다를 게 없었다.
그러나 이런 와중에도 행운이 찾아들었다. 당시엔 폭군이나 다름없었던 계엄군 중에 천사와도 같은 사람이 나타났다. 그가 매일 아침과 저녁, 주저하는 나를 간이목욕탕으로 데려가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말끔하게 씻어주는 게 아닌가! 같은 처지의 동료들도 행여 옮길까봐 날 가까이하지 않았는데, 그것도 맨손으로! 온몸 구석구석 꼼꼼히, 마치 세례의식이라도 치르듯. 매번 겸연쩍어 나 스스로 씻는다고 하면 자애로운 형처럼 입가에 맑은 미소를 지으며 “그냥 있어, 괜찮아!”라고 위로했다. 가슴이 먹먹하면서도 얼마나 콩닥거렸는지, 지금 생각해도 트라우마를 지우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변변한 약도 먹지 못했는데 채 일주일이 되기도 전에 말끔하게 나았다. 당시 그의 계급은 상병, 이름은 차재욱! 그립고 보고 싶다. 30년도 더 지났지만, 지옥 속에서 만난 그 천사는 아직도 내 가슴에서 훈훈한 자애로움과 사랑으로 자라나고 있다.
최상용 인문기학연구소장
<한겨레 인기기사>
■ 링거 꽂고 출석했다 걸어서 나온 김하주 이사장…‘법원의 기적’?
■ 신선한 모유 ‘복용’하려 유모 고용하는 중국 부자들
■ 경주 금관총 주인 밝혀졌다
■ 격려금 ‘팥쥐 노조’ 420만원, ‘콩쥐 노조’ 0원…
■ [화보] 대한민국 폭염 생존 비법
■ 링거 꽂고 출석했다 걸어서 나온 김하주 이사장…‘법원의 기적’?
■ 신선한 모유 ‘복용’하려 유모 고용하는 중국 부자들
■ 경주 금관총 주인 밝혀졌다
■ 격려금 ‘팥쥐 노조’ 420만원, ‘콩쥐 노조’ 0원…
■ [화보] 대한민국 폭염 생존 비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