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독일 이어 세번째 채택
“원자력 대신 ‘핵발전’ 표기해
상상못할 위험 상기시켜야”
“원자력 대신 ‘핵발전’ 표기해
상상못할 위험 상기시켜야”
한국천주교주교회의가 17일 핵의 위험성과 부도덕성을 경고하며 정부에 탈핵 정책을 취할 것을 공식 촉구하는 담화문을 발표했다.
한국 대주교·주교 협의체인 주교회의는 지난 14~15일 열린 정기총회에서 담화문 채택과 함께 <핵기술과 교회의 가르침>이란 소책자를 내놓았다. 이 책자는 한국 천주교인에게 강론하고 교육하는 데 활용된다. 주교회의는 1년에 한차례 여는 정기총회에서 한국 천주교가 나아갈 바를 논의하고 결정해왔다. 주교회의 차원의 탈핵 요구는 세계적으로 일본과 독일에 이어 세번째다.
주교회의는 담화문에서 “핵발전은 개개인의 이득을 따지며 대안과 시기를 가늠할 문제가 아니라 우리 자신과 현대와 미래의 모든 인류를 위해 당장 결단해야 할 일”이라며 탈핵을 요구했다. 주교회의는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핵폭탄과 2011년의 후쿠시마 사고가 보여주듯 핵 사고는 대량 살상, 피폭에 따른 급성 방사선 증후군, 암 발병과 유전적 손상에 따른 돌연변이와 기형 따위의 장기적인 후발성 이상 증세를 가져오고 그 부담을 미래 세대에 전가해 자손들의 생명권을 해친다”고 경고했다.
주교회의는 또 ‘원자력발전’ 대신 ‘핵발전’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담화문은 “‘핵’과 ‘원자’는 분명히 다른데도 우리나라에서는 상상조차 하지 못할 위험성과 회복 불가능의 영구적 폐해가 주는 공포심을 희석하기 위해 ‘핵발전’ 대신 ‘원자력발전’이란 용어를 쓴다”고 비판했다.
주교회의는 핵과 관련된 정보 왜곡도 지적했다. 핵발전 공보기관인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은 후쿠시마 핵 사고가 일어난 뒤 독일이 노후 핵발전소 8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프랑스와 체코로부터 전력을 매달 약 1500억원씩 주고 사들였다고 주장했으나, 실제로는 독일이 프랑스에 전기를 수출하고 프랑스는 핵발전 비중이 75%나 되는데도 전기를 수입하면서 제한 송전을 감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초중고 교과서에도 ‘원자로(핵반응로)는 절대로 폭발할 수 없다’고 쓰여 있는 등 정보 왜곡이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강우일 주교회의 의장은 “밀양 송전탑 사태에서 보듯 전기를 소비하는 도시인을 위해 전기도 거의 쓰지 않는 시골 사람들이 재산권과 생명권을 훼손당하는 불의가 저질러지는 것도 핵발전이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모순점”이라며 “인류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해야 하므로 지금 당장의 편의만 취하기보다 불편을 받아들이는 삶의 변화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