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 남북평화재단 경인본부 김의중 상임대표
김의중 상임대표가 난정평화교육원 전시실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강성만 선임기자
난정평화교육원 생활동.
난정평화교육원 교육동.
폐교에 난정평화교육원 설립 주도
교육청 첫 평화교육전문기관 아버지 월북 뒤 연좌제 굴레 고초
부평에서 40여년 ‘노동자 목회’
2008년 북쪽과 배농장 조성 합의
“통일까지 평화운동가로 살 터” 스스로 보수적인 목사라는 김 대표의 소원은 “통일이 될 때까지 자칭 평화주의자, 평화운동가로 사는 것”이다. 6년 전엔 민간 남북교류 부문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그는 2008년에 북한 민족경제협력연합회와 약 10만평의 배 농장을 평양 대성구역에 조성하기로 합의하고 그해에 1만 평에 심을 배 묘목 5천주와 비료 3천포를 북에 보냈다. 남북평화재단 경인본부도 이 사업 추진을 위해 만들었다. 하지만 2010년 5·24 대북제재로 더 이상의 지원은 중단됐다. 그는 앞서 1993년에는 중국복지후원회를 만들어 중국 동북삼성 지역과 베이징에 장애인 복지관이나 양로원, 학교 설립 후원을 해왔다. “80년대 후반부터 조선족 노동자들이 교회를 찾아 급여나 자녀 문제를 호소했어요. 그때부터 중국 내 조선족 지원 사업 등에 관심을 갖게 되었죠.” 특히 그가 김포시 배 농가와 함께 1999년 중국 베이징시에 지원한 배 묘목과 비료는 북한과의 가교 구실을 했다. “중국에서 배 농사가 잘 안된다는 말을 듣고 묘목과 기술 지원을 해 베이징시에 10만 평 배 농장을 조성했는데요. 여기 배가 ‘황금 배’라고 불릴 만큼 잘 자랐어요. 이 소식을 2002년에 중국 당국으로부터 전해 들은 북한 쪽에서 주중 한국 대사관을 통해 저를 수소문했다고 해요. 배 농장 조성에 도움을 얻으려고요.” 그가 평화를 염원하는 데는 남다른 가족사의 영향도 있을 듯하다. 평생 얼굴 한 번 보지 못한 그의 부친은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을 하다 1948년 단독정부 수립 뒤 월북했다. 모친은 한국전쟁이 터지자 좌익 가족에 대한 보복을 우려해 17살, 3살(김 대표) 두 아들을 살리려고 북으로 갔다가 평양에서 미군 폭격을 맞아 피해다니다 큰아들과 헤어지고 강화로 돌아온 뒤 2년 옥살이를 했다. “폭격 통에 사라진 형이 고향 집으로 올 수 있다고 생각하신 거죠. 2005년 이산가족 상봉 때 북의 형수와 조카를 만났어요. 아버지는 한국전쟁 때, 형님은 상봉 2년 전에 별세하셨더군요.” 한국전쟁 뒤 김 대표는 연좌제라는 ‘잔인한 형벌’과 마주했다. “제가 초등 6학년 때 어머니가 ‘우리가 살길은 기독교인이 되는 것밖에 없다. 앞으론 제사도 정리하겠다’고 하시더군요. 그리고 교회를 다녔죠. 동네 교회도 그 전에는 우리 모자에게 전도하지 않았어요. 빨갱이 가족이라고요.” 그의 모친은 늘 아들에게 “너는 커서 우리와 처지가 비슷한 과부나 고아처럼 외로운 사람들을 위해 살아라”고 당부했단다. “고교 졸업 무렵 교회 목사님께서 연좌제 아래에서는 너는 꿈이 없으니 목회자가 되는 게 좋겠다고 하시더군요. 어머니도 눈물을 흘리며 그 길을 가라고 권하셨죠.” 1977년부터 부평 작전동 교회를 개척해 ‘중형교회’로 키웠던 그는 연좌제 굴레를 벗은 1980년대에 인천 도시산업선교회(산선) 이사장을 맡아 20년 이상 재직했다. “제가 부평 공단에서 노동자 목회를 하던 70년대 후반에 당시 인천 산선 총무인 김동완 목사와 김근태 간사가 함께하자는 요청을 많이 했어요. 하지만 당시는 연좌제 굴레에 있던 터라 받아들일 수 없었죠.” 그는 인터뷰를 마치며 이런 바람을 나타냈다. “앞으로 교동도에 약 10평 규모로 작게 ‘평화통일기도 교회’를 만들고 싶어요. 여기서 한국의 모든 기독교인들이 평화와 통일을 위한 기도를 드리기를 소원합니다.” 난정평화교육원 문의 (032)621-9950. 강성만 선임기자 sungman@hani.co.kr
연재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