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국가…네트워크’ 출범
코리아연구원 등 8개 단체
‘민주적 복지국가’ 건설 목표
코리아연구원 등 8개 단체
‘민주적 복지국가’ 건설 목표
진보 성향의 싱크탱크들이 모여 보편적 복지 담론과 진보적 대안을 개발하는 정책 네트워크가 출범한다.
‘복지국가와 민주주의를 위한 싱크탱크 네트워크’는 3일 오전 9시30분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언론회관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창립대회 및 창립기념 심포지엄을 연다고 1일 밝혔다.
네트워크의 목표는 ‘더 많은 복지, 더 많은 민주주의, 더 많은 평화’다. 우선은 내년 총선과 대선을 겨냥한 진보진영의 정책 개발에 주력하고, 장기적으로는 민주적 복지국가 구축을 위한 대안 마련에도 나설 계획이다.
참여 단체는 보편적 복지 담론을 이끌어온 복지국가 소사이어티를 비롯해,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코리아연구원, 한국미래발전연구원, 생활정치연구소, 젠더사회연구소, 진보와 개혁을 위한 의제27, 풀뿌리지역연구소 등 8개다. 네트워크는 시민정치운동 단체인 ‘희망과 대안’, ‘내가 꿈꾸는 나라’ 등과 연계해 총선과 대선에서 ‘인물 연합’을 넘어선 ‘가치·정책 연합’도 추진할 예정이다.
공동대표는 김용익 서울대 교수(한국미래발전연구원 원장), 정태인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원장,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생활정치연구소 소장), 홍종학 경원대 교수(진보와 개혁을 위한 의제27 공동대표)가 맡았다. 김호기 연세대 교수가 운영위원장이며, 김수현 세종대 교수(한국미래발전연구원 부원장), 이상이 제주대 교수(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이정철 숭실대 교수(코리아연구원 상임기획위원장), 손혁재 풀뿌리지역연구소 대표, 이숙진 젠더사회연구소 소장이 운영위원으로 참여한다.
공동대표인 정해구 교수는 “진보적 학자들이 각 캠프에서 단편적인 정책을 만드는 것을 넘어서서, 유기적인 소통을 통해 현실에 기반을 둔 대안 가치와 정책을 깊이 있게 만들어보자고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정책 마련은 네트워크의 10개 태스크포스팀(국가비전, 정치개혁, 국제관계, 국내경제, 대외경제, 일자리·노동, 보건·복지, 교육, 주거, 여성·환경·문화)이 맡는다. 아울러 매달 관련 심포지엄을 여는 한편, 순회강연과 시민 대상 교육, 책자 발간 등도 진행할 계획이다.
오는 3일 창립대회와 함께 열리는 첫 심포지엄에서는 김대중·노무현 정부 10년의 공과를 평가하고 앞으로 만들어 가야 할 복지민주주의의 과제를 검토한다.
공동대표인 김용익 교수는 “진보진영의 공과를 파악할 때 지난 정부의 진정한 계승과 발전이 가능하다고 본다”며 “복지를 단순한 혜택이 아닌 민주주의를 한단계 발전시킨 개념으로 끌어오는 한편, 정부 참여의 경험을 가진 지식인들과 학계 인사들이 함께 담론을 현실적 정책으로 전환하려 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문의 (02)786-1113.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공동대표인 김용익 교수는 “진보진영의 공과를 파악할 때 지난 정부의 진정한 계승과 발전이 가능하다고 본다”며 “복지를 단순한 혜택이 아닌 민주주의를 한단계 발전시킨 개념으로 끌어오는 한편, 정부 참여의 경험을 가진 지식인들과 학계 인사들이 함께 담론을 현실적 정책으로 전환하려 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문의 (02)786-1113.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