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정당 ‘총선 복지공약’ 뜯어보니…
시민단체들이 여야의 4·11 총선 복지 분야 공약을 점검한 결과, 새누리당은 내용이 빈약하고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예산을 너무 적게 잡는 등 재원 방안이 부실한 것으로 평가됐다.
참여연대, 민주노총 등 전국 410여개 노동·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복지국가실현 연석회의’(연석회의)는 지난 2월 각 정당에 공개 질의한 ‘민생·복지 공약 12대 요구안’에 대한 답변을 분석해 28일 발표했다. 시민단체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내만복)도 이날 각 당의 총선 복지 공약을 평가한 보고서를 펴냈다.
■ 복지 vs 재정 연석회의 분석 결과를 보면, 새누리당은 36개 세부과제 가운데 ‘감세정책 철회’ 하나(2.8%)에 대해서만 찬성했고, 전월세 상한제, 반값 등록금 등을 반대했다. 답변을 보내온 6개 야당은 대부분의 요구에 대해 찬성(평균 90.9%)했다. ‘내만복’은 새누리당의 경우 무상보육과 공공임대주택을 뺀 나머지 보편적 복지 공약이 실종돼 기존 ‘맞춤형 잔여복지’로 돌아갔다고 평가했으며,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복지 공약 이행을 위한 재정 규모를 각 32조원, 55조원으로 잡아 공약에 견줘 과소추계되거나 각 항목의 추계가 명확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 기초노령연금 확대 새누리당은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당내 경선 때 박근혜 후보가 공약으로 내놓은 기초노령연금 인상에 대해 이번 총선에서는 공약을 내놓지 않았다. 연금 대상자 확대 방안도 없다. 연석회의의 요구안을 두고서는 ‘신중한 검토’ 입장을 밝혔다. 이에 연석회의는 “사실상 반대로 볼 수 있으며, 노인빈곤율이 심각한 상황에서 새누리당이 노후소득보장 공약을 제시하지 않은 것은 그동안의 주장에 견줘 후퇴한 것”이라고 밝혔다. 내만복은 “민주통합당은 연금액 2배 인상에 지급 대상도 노인 80%로 확대를 약속했지만, 재원은 현재 중앙정부 부담액인 2조9000억원으로 책정했다”며 재원이 과소추계됐다고 분석했다.
■ 부자감세, 공공지출 확대 법인세·소득세 감세 철회에 대해서는 모든 당이 찬성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법인세·소득세 최고세율구간 신설에 새누리당은 반대했고 야당들은 찬성했다. 연석회의가 제안한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복지지출 15%로 확대’에 대해 새누리당은 “재정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내만복’은 “새누리당의 복지 공약 재정규모 연평균 15조원은 우리나라 지디피의 약 1% 규모로, 이명박 정부가 2008년 부자감세 조처로 초래한 세수 감소 20조원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등록금 상한제와 반값 등록금에 대해서도 새누리당은 ‘반대’ 입장을 보였다. 정부 지원과 대학의 구조조정을 통해 등록금 부담을 완화한다는 현 정부의 등록금 정책과 다르지 않은 셈이다. 야 6당은 반값 등록금에 대해 모두 찬성했다.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4대강 달성·고령보 위태…“주저앉을 가능성”
■ 방문진, 김재철 해임안 부결…노조 “청와대 거수기”
■ 라면 좋아하는 남자는 섹스도 좋아해?
■ 삼성가 상속분쟁 이창희쪽도 가세
■ 4.19kg 셋째딸, 쳐다보기 싫었다
■ 4대강 달성·고령보 위태…“주저앉을 가능성”
■ 방문진, 김재철 해임안 부결…노조 “청와대 거수기”
■ 라면 좋아하는 남자는 섹스도 좋아해?
■ 삼성가 상속분쟁 이창희쪽도 가세
■ 4.19kg 셋째딸, 쳐다보기 싫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