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보건복지부 제공
취임 뒤 첫 기자간담회
건보 보장성 강화 의료계 반발엔
“수가와 관련 의견 충분히 듣겠다”
건보 보장성 강화 의료계 반발엔
“수가와 관련 의견 충분히 듣겠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저출산 문제 해소의 핵심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라고 말했다. ‘문재인 케어’라 불리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방안 발표 뒤 최근 일고 있는 의료계 반발과 관련해선 “수가와 관련해 의료계 의견을 충분히 듣겠다”고 했다.
박 장관은 28일 정부세종청사 인근에서 취임 뒤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렇게 밝혔다. 그는 ‘저출산 문제와 관련해 복지부가 어떤 부분에 집중해 정책을 운영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동안 정부가 지엽적인 일에 열심이었던 게 (문제가 해소되지 않은) 가장 큰 원인”이라며 “젊은 부부가 아이를 갖지 않는 건 직장이 불안하고 거주지가 불안하기 때문이다. 또 개인을 중시하고 현재의 내 삶을 중시하는 가치관 영향인데 정부는 이런 가치관 변화까지 포함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그러면서 “직업을 안정시키고 양육비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 그러려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만들어주는 것, 비정규직의 해소가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엽말단적 정책 나열이 아닌, 아이를 안 갖는 근본적인 문제를 보고 해결책을 마련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정부가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방안을 내놓은 뒤 최근 의료계의 반발이 나타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박 장관은 “과거 비급여를 급여로 바꾸는 과정에서 수가를 낮게 책정한 경험이 반복될 것으로 의료계가 우려하는 것”이라며 “그런 우려 때문에 미리 겁을 먹고 있는 것 같다. 수가와 관련해 의료계 의견을 충분히 듣겠다”고 말했다. 건강보험의 재원 마련과 관련한 우려에 대해선 “국고 부담금과 기금을 활용하면 연간 3%대 보험료율 상승으로도 충분히 조달할 수 있다”면서 “정부 재정부담과 관련해서도 기재부와 원만히 해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또 국민연금 소득대체율과 기여율을 조정하는 문제에 대해 “10년 전 소득대체율을 60%에서 40%로 낮췄는데, 동시에 기여율을 9%에서 14%로 올리는 안이 있었지만 국회의원들이 자신들의 임기 내에 하는 건 싫다고 해서 소득대체율만 낮췄다”며 “재원부담 대안을 두고 많은 논란이 있고 열려 있다고 본다. (내년에 마무리되는) 국민연금 4차 재정추계를 통해 객관적 수치를 놓고 논의를 하자는 것이다. 단기적인 빈곤해소에 중점을 둘 것이냐, 중장기적으로 세대 분배를 생각할 것이냐 모두 열어놓고 논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국민연금 급여에 따라 기초연금을 연계해 감액지급하는 문제와 관련해선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차단하자(별도로 지급)고 논의하는 논거를 보면 노인 빈곤층이 많으니 (각각을 다 지급하면) 빈곤문제 해결할 수 있다는 단기적 입장인데, 한쪽이 맞고 틀리느냐는 문제가 아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한쪽을 편들지 않는다. 중립적 입장에서 정책이 결정돼야 한다”고 했다.
박 장관은 내년도 예산안과 관련해선 “부처 단위로 예산이 가장 많은 곳이 교육부, 그 다음이 복지부다. 교육부는 받은 예산을 대부분 지방에 내려보내는데, 우리가 조만간 교육부를 추월할지도 모른다”면서 “여아를 막론하고 청문회에서 ‘복지부 장관은 기획재정부 장관과 싸워서 예산을 받아내야 한다’고 하던데, 난 예산부처를 감동시켜 받아내겠다고 했다. 왜 복지가 필요하고 해야하는지, 시대적 소명으로 납득시키고 논리적으로 설득하겠다고 했다. (29일 발표되는) 내년 예산안을 보면 복지부 복지예산이 상당히 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박 장관은 아울러 권련형 전자담배인 ‘아이코스’에 세금을 부과해야한다는 논란과 관련해선 “아이코스의 유해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시간이 다소 필요할 것 같다. 유해하다면 건강을 위해 세금을 부과하는 게 타당하다”고 밝혔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