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역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된 12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효원고등학교에서 교사가 원격수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으로 사범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중·고등학교 국어·영어·수학 교사가 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가 임용 경쟁률을 낮추기 위해 일반학과의 교직이수 과정을 제2외국어, 비교과 등으로만 제한하고 대부분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 때문이다. 13일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 시안을 발표했다. 이는 “중등교원 양성 규모의 축소가 필요하다”는 지난해 국가교육회의의 사회적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교육부는 오는 16일부터 9월까지 네 차례 대국민 온라인 토론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뒤 오는 10월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교육부는 중등 임용 규모에 견줘 예비교원(교원자격증 취득)이 과잉·중복으로 양성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사범계열(사범대·사범계학과)에서 1만1835명, 일반학과의 교직이수과정에서 4141명, 교육대학원 3360명 등 모두 1만9336명이 중등 교원자격증을 발급받았지만 올해 중등 임용시험 모집인원은 4282명에 불과하다. 누적된 인원까지 고려하면 임용 경쟁률은 더욱 높아진다. 교육부는 “높은 임용 경쟁률 때문에 다른 진로를 희망하는 사범대 학생들이 늘어나고 교육실습을 운영하는 학교를 연결하는 것도 어려워졌다”고 짚었다.
이에 따라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예체능 계열 등 공통과목 예비교원은 사범대를 중심으로 양성하고 교직이수과정은 제2외국어나 2025년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에 따른 선택과목, 비교과 등으로만 제한한다. 지난해 교직이수 과정을 통해 중등 교원자격증을 얻은 이들의 56.8%가 공통과목이었는데, 시안이 이대로 확정되면 국어국문학과 학생이 교직이수과정-임용시험을 거쳐 국어 교사가 되는 경로가 사라지는 셈이다. 또 교육대학원은 교원 양성 기능을 대부분 없애고(특수·비교과 등 제외) 현직 교사 재교육 기관으로 개편된다.
교육부는 ‘6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기본계획’(2022~2025)에 중등교원 양성 경로 정비 과제 등을 포함해 대학들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실제로 현장에 적용되는 시점은 2026년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수 교육부 학교혁신지원실장은 “교원양성 체제는 미래교육으로 대전환을 준비하기 위한 의제로, 대학만이 아니라 국민 누구나 고민하며 의견을 모아야 한다”면서, 의견수렴 참여를 당부했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