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교육지원청 간부 공무원이 지난해 8월31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상남초등학교 늘봄 2호 교실을 점검하고 있다. 초등학교 거점통합 돌봄센터인 ‘늘봄 2호'는 9월 1일 개관한다. 연합뉴스
2025년부터 전국 초등학교 돌봄교실 운영시간이 저녁 8시까지 확대되고 돌봄 유형도 틈새돌봄·일시돌봄 등으로 다양해진다. 수업이 점심 정도면 끝나 돌봄 공백이 큰 1학년은 희망할 경우 3월 초부터 방과 후 ‘맞춤형 에듀케어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9일 교육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초등 늘봄학교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늘봄학교는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라는 의미로,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인 초등 전일제의 새 이름이다. 교육부는 올해 4개 안팎의 시·도교육청을 선정해 초등학교 약 200곳에서 늘봄학교를 시범 운영한 뒤 내년에는 시범교육청 7~8개로 늘리고 2025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특별교부금 3402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17개 시·도 교육청의 경우 같은 기간 해마다 약 3000억원씩 추가로 감당해야 한다.
늘봄학교 운영시간은 지역 여건과 수요에 따라 저녁 8시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초등 돌봄교실을 저녁 7시까지 운영하도록 권장하고 있는데, 2022년 저녁 5시 이후에도 운영된 돌봄교실은 전체 1만4970실 가운데 30.2%인 4528실에 그쳤다. 교육부는 “단순한 시간 연장이 아니라 특별교부금으로 저녁밥과 간식을 제공하고, 심리상담 등 프로그램을 포함해 양질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돌봄 유형은 오후돌봄 위주에서 저녁돌봄은 물론 아침돌봄과 방과후프로그램 사이에 잠깐 이용하는 틈새돌봄 등으로 다양해진다. 특히 교육부는 급한 사정으로 저녁돌봄이 필요한 경우 전날 신청을 하면 하루나 일정 기간 돌봄교실을 이용할 수 있는 ‘일시돌봄’을 도입해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일시돌봄 이용대상은 돌봄교실 대기자, 방과 후 연계형 돌봄 이용자 등을 우선으로 하되 올해 시범운영 뒤 대상 확대를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늘봄학교 개념도. 교육부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돌봄 대상도 저학년 위주에서 고학년까지 전 학년으로 확대한다. 고학년의 경우 인공지능, 코딩 등 신산업 분야 중심으로 방과후프로그램을 제공한다. 1학년에게는 3월 초부터 방과 후 ‘맞춤형 에듀케어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초등학교 1학년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견줘서도 하교 시간이 빠른데, 방과후프로그램은 3월 말에나 시작해 돌봄 부담을 호소하는 학부모가 많았다. 에듀케어 프로그램은 1학년 발달 단계에 맞게 놀이·체험 중심으로 운영하며,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학교 공간이 부족한 대도시에서는 교육청을 주관으로 인근 학교 여러 곳이 함께 돌봄 수요에 대응하는 ‘거점형 돌봄모델’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2027년까지 해마다 5곳씩 모두 25곳을 거점형 돌봄모델로 구축해 과밀지역 돌봄교실 대기수요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돌봄교실 수는 2017년 1만1980실에서 지난해 1만4970실로 늘어났지만 대기인원 역시 9225명에서 1만5106명으로 증가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모든 지역에서 똑같이 대기 수요가 있는 게 아니고 주로 신도시 쪽에서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현상이 발생한다”며 “거점형 돌봄모델을 25곳까지 확대하면 대기수요 가운데 1만2천여명 정도는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학부모들이 돌봄 공간으로 학교를 가장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해 거점형 돌봄모델도 최대한 인근 학교 안 가용 공간을 활용하되 불가피한 경우에는 지역커뮤니티센터 등 학교 밖 공간이 쓰일 수도 있다.
교사들 행정업무도 줄어들 전망이다. 교사들은 방과후프로그램 강사 선정 및 강사료 지급 등 행정업무가 과도해 수업 준비에 지장이 생긴다는 이유로 방과후프로그램 확대에 부정적이었다. 교육부는 시·도교육청이 운영하는 ‘방과후학교지원센터’를 ‘방과후·늘봄지원센터’로 개편하고 센터 전담인력이 교사가 맡고 있는 행정 업무를 지원하도록 할 방침이다. 김태훈 교육부 교육복지돌봄지원관은 “교사가 방과후·돌봄 관련 업무를 100% 안 할 수는 없겠지만 이를 최소화하고 (지금보다) 가중되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