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을 중단하고 학교를 떠난 초·중·고 학생이 지난해 5만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학업중단 학생은 2020년 3만2027명에서 2022년 5만2981명으로 3년 새 2만여명이나 늘었다. 학업중단 등으로 인한 학교 밖 청소년은 지난해 17만명으로 추정된다. 이에 정부는 내년 예산·특별교부금 약 300억원을 투입해 학업중단 징후를 보이는 학생을 제때 파악해 관리하고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지원, 안전망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7일 서울 마포구 마포청소년문화의집에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학업중단 위기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이후 학업을 중단한 학생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2020년 전체 초·중·고 학생 가운데 3만2027명(0.6%), 2021년 4만2755명(0.8%), 2022년엔 5만2981명(1.0%)이 학교를 떠났다. 특히 질병이나 해외 출국(미인정 유학) 등이 아닌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은 2020년 2만명(0.38%)에서 지난해 3만2천명(0.61%)으로 증가했다. 학교를 떠난 학생 중에는 검정고시 등을 통해 학업을 이어가거나 취업을 할 수도 있지만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가구에 속한 경우 고립되거나 범죄에 노출될 위험도 크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유행이 학업중단 학생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비대면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학교에 갈 필요를 느끼지 못하거나 대면 수업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교육학)는 “코로나 확산 시기 등교를 하지 않는 시간이 길어지다 보니, 아침에 학교를 가고 오랜 시간 앉아서 수업을 듣는 것 자체가 더 부담스럽게 느껴진 측면이 있다”며 “(비대면 수업으로) 사회성이 잘 길러지지 않아 단체생활 과정에서 다른 학생과 부딪치고 마음의 상처를 입는 것도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교육부는 자퇴 뜻을 밝히거나 장기간 결석을 하는 등 학업중단 징후를 보이는 학생을 적기에 파악해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그동안 한가지가 아닌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인이 학업중단을 유발함에도 교육, 심리 지원 등이 분절적으로 이뤄진다는 비판이 있었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학업중단 위기 학생을 포착해 기초학력 미달, 심리·정서, 경제적 문제 등 학생이 겪는 복합적인 어려움에 대응하는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학교 밖의 청소년 지원센터 등에는 전·현직 교원을 배치해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지역 단위에서 고립·운둔 성향을 보이는 이들을 찾아 지원하는 사업도 강화한다.
이 밖에 학교 밖 청소년 규모·소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부처별로 분산돼 있는 행정자료를 모아 ‘학령기 아동·청소년 기본통계’(가칭)를 구축해 내년부터 해마다 조사할 계획이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