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17일 오전 서울 강서구 월정초등학교 2학년인 남매가 손을 잡고 등교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한국 학생들의 읽기·수학·과학 학업 성취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기간에도 비대면 수업 등으로 학교와의 끈이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 학생·학교별 학업 성취도 격차는 여전히 컸다.
오이시디는 5일 ‘2022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결과를 공개했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는 경제협력개발기구가 3년마다 전 세계 만 15살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수학·과학 분야의 성취도를 측정해 비교한다. 이번 조사에는 81개국(회원국 37개국, 비회원국 44개국) 약 69만명이 참여했고 한국에선 186개 학교 학생 6931명이 참여했다. 예정대로면 3년 주기에 맞춰 2021년에 평가가 이뤄져야 했지만, 코로나19로 한 해 연기됐다.
한국 학생의 학업 성취도는 읽기·수학·과학 전 영역에서 모두 상위권이었다. 수학은 오이시디 회원국 중 1∼2위, 읽기는 1∼7위, 과학은 2∼5위를 기록했다. 직전 평가인 2018년(수학 1~4위, 읽기 2~7위, 과학 3~5위)에 이어 오이시디 최고 수준을 이어간 것이다. 비회원국을 포함한 전체 81개국 중에서도 수학 3∼7위, 읽기 2∼12위, 과학은 2∼9위였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는 시험을 친 학생(표본)을 통해 한 나라 전체 학생(모집단)의 학업 성취도 추정치를 구하는 방식이라, 국가별 순위는 표본 오차를 반영해 범위로 표시한다.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봐도 한국 학생의 수학 평균 점수는 527점, 읽기는 515점, 과학 528점으로 앞선 평가(수학 526점, 읽기 514점, 과학 519점)보다 1~9점씩 올랐다. 오이시디 회원국의 평균 점수가 같은 기간 영역별로 4∼17점 떨어진 것과 대비된다. 그 사이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 대유행 때 원격수업 등으로 학교와 학생의 소통이 이어진 결과라고 교육부는 분석했다. 교육부 기초학력진로교육과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온라인 수업이 비교적 잘 이뤄져 학교에 대한 소속감이 다른 나라 학생들보다 강하게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거에 비해 수업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경제협력개발기구는 매 평가마다 수학·읽기·과학 중 한 과목을 택해 해당 과목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시도 하는데 이번 평가에서 그 대상은 수학이었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수학 수업 분위기를 얼마나 긍정적으로 인식하는지 나타내는 ‘수학 수업 분위기 지수’는 0.84로, 2012년(0.19)보다 개선됐다. 이 지수는 숫자가 클수록 수업을 긍정적으로 여기는 학생이 많다는 의미다.
평균 학업 성취도는 높았지만 국내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학교 사이의 성취도 격차는 오이시디 평균보다 컸다. 한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 사이 수학 과목 성취 수준 격차를 보여주는 ‘학교 내 분산 비율’(98.1%)은 오이시디 평균(68.3%)보다 크게 높았다. 분산 비율은 평균 점수에서 학생들의 성적이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상·하위권의 성취도 격차가 크다. 학교 간 성취 수준 격차를 나타내는 ‘학교 간 분산 비율’(40.3%) 또한 수학 부문에서 오이시디 평균(31.6%)보다 높았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