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걸기·문자보내기·개별접촉 지지 압력…
후보등록 전부터 혼탁 양상…현직 교육장 불공정 논란도
후보등록 전부터 혼탁 양상…현직 교육장 불공정 논란도
오는 7월31일에 치러지는 전북 교육위원 선거가 입지자들의 물밑 선거운동이 치열해지면서 혼탁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행 지방교육자치법에는 교육위원 선거 입지자가 후보등록(7월21일) 이전에 일체의 선거운동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입지자 대부분은 유권자인 학교운영위원들과 개별 접촉, 전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사전 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
특히 교육위원 선거에 나설 일부 교육장들은 공식 업무수행을 내세워, 현직을 활용한 선거운동을 사실상 전개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인사권을 갖고 있는 교육장이 일선 학교 교감들에게 자신의 지지를 유도하는 압력을 넣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번 교육위원 선거에는 전주·익산·무주·부안 교육장 등 4명의 현직 교육장이 출마를 준비 중이다.
전주 ㅇ초등교 지역위원 이아무개(46)씨는 “복사본까지 나온 학운위원 명단을 미리 확보해 대상자를 직접 만나거나 전화로 도움을 요청한다”며 “일부 교사들은 방과후 바로 선거운동에 나서 다음날 수업에 지장을 주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현직 교육장과 비교육장 입지자들은 견해차를 보이고 있다. 교육장과 경쟁하는 입지자들은 “학운위원 명단 확보부터 업무를 내세운 유권자 접촉까지 유리한 처지인 교육장들의 선거출마는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반면, 현직 교육장들은 “근무시간 이외의 제한된 시간을 활용할 수밖에 없는 처지여서 다른 입지자들이 오히려 현직보다 더 우세한 형편”이라고 반박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