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서울학생 학력신장 방안’부작용 발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4일 서울시교육청이 1월 말 ‘초등학교 학업 성취도평가 자율 실시 방침’을 밝힌 뒤 일선 학교에서 실제로 일제고사가 부활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전교조는 이날 오후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1월 말 시교육청이 ‘서울 학생 학력신장 방안’을 발표한 뒤 일선 학교에서 나타나고 있는 부작용 사례들을 발표했다.
전교조의 발표를 보면, 시교육청 발표 뒤 서울 ㄷ초등학교에서는 이전에 실시하지 않았던 학업 성취도 평가를 학기마다 한 차례씩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또 ㅎ초교에서는 학력신장 방안을 학교 중점활동 1순위로 정한 뒤, 국어·수학만 보던 학업 성취도 평가를 사회·과학까지 확대키로 했으며, ㅇ초교는 학사일정 달력을 만들면서 수행평가까지도 학교 쪽에서 일정을 명시해 담임들의 평가권을 제한하기도 했다.
전교조는 또 우수 학생 특혜 논란을 빚고 있는 수준별 이동수업 확대 방침과 관련해서도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ㅈ중학교에서는 1·2학년 영어·수학 과목의 수준별 이동수업을 교무회의에서 일방적으로 발표한 뒤 교사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교육청 장학사항이라며 교사들에게 협조를 구해 이를 통과시켰다. 또 ㅁ중학교는 지난달 학교장이 학교운영위원회를 소집해 수준별 이동수업을 결정했다가, 교사들의 반발로 이를 취소하는 일도 벌어졌다.
전교조 관계자는 “시교육청이 부작용을 우려하는 많은 교사들의 반발에도 아랑곳않고 일선 학교에 학력신장 방안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이 가운데 특히 문제가 되는 초등학교 학업 성취도 평가와 단계형 성적통지 부활, 중1 일제 진단평가 실시, 수준별 이동수업 확대 등에 대해서는 일선 학교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해 대책을 신중하게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