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제교사 합숙도 않다니…입시문제 유출의혹 자초
외고에 대한 학생·학부모의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이에 따라 경쟁률도 치열해지고 있다. 하지만 입학 여부를 결정하는 입시에 대한 교육부와 학교의 관리실태는 구멍투성이다.
외고 입시는 특별전형과 일반전형으로 나뉘고 내신, 영어듣기, 구술면접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세간의 이목이 가장 집중되는 서울지역 외고 일반전형은 그나마 형식을 갖춘 편이다. 서울지역 6개 외고는 2004년부터 일반전형 구술면접 문제를 공동출제하고 있다. 각 학교에서 교사 2~3명씩을 뽑아 출제위원회를 구성한 뒤 외부와 격리된 상태에서 시험문제를 출제하고 시험 당일까지 합숙을 한다. 여기서 3~4배수 문제를 출제해놓고 각 학교가 이 가운데 문제를 골라서 쓴다. 지난해에는 경기 지역 공립외고 3곳과 일부 사립외고도 일반전형 구술면접 문제를 공동출제했다.
서울 일부 외고 일반전형만 공동출제
대부분은 특별전형·영어듣기 개별출제 하지만 각 학교가 자체적으로 출제하는 특별전형의 영어듣기나 구술면접, 일반전형의 영어듣기 등에서는 이런 기본적인 절차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일부 외고들은 학교 안에 출제장을 설치하고 출제 기간 동안 출제 교사들을 합숙시키지 않은 채 학교 수업까지 병행시키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지역 한 외고 교사는 “출제 교사들을 격리시켜 문제만 내게 하기에는 교사 수가 부족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구술·면접고사장에서 수험생들간 격리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교육부 감사에서 받은 외고도 5곳이었다. 심심치 않게 ‘외고 시험문제 유출설’이 터져나오는 데는 이런 허술한 입시관리도 일조하고 있다. 지난 2004년에는 “구술면접 문제가 한 학원의 모의고사와 똑같았다”며 시험에 떨어진 학부모들이 검찰에 고발하는 소등이 빚어졌다. 지난해 10월 한 외고 특별전형 직후에는 수험생들 사이에서 ‘특정 학원 문제와 똑같았다’ ‘시험감독이 소홀해 커닝이 많이 이루어졌다’는 등 의혹이 제기돼 학교에서 공식 해명을 하기도 했다. 지난해 일반전형에서도 한 외고의 구술면접 문제가 한 학원의 모의고사와 아주 유사하게 나오면서 의혹의 눈초리가 쏠렸다. 해당 학원들은 “워낙 많은 문제들을 연습시키다 보니 비슷한 문제가 나올 뿐”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교육부의 개선 의지는 강해 보이지 않는다. 교육부는 실태조사를 통해 외고 입시관리가 허술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문제 보안을 위해 출제위원 합숙 등 보완이 필요하다”고 개선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시험문제를 사설기관에 맡겨 출제한 학교 등 문제가 있었던 학교 이름이나 출제관리가 미흡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는 않았다. 이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교육부 중등교육정책과 관계자는 “시·도 교육청을 통해 해당 학교를 징계했다”며 “학교 이름을 공개하면 이중처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대부분은 특별전형·영어듣기 개별출제 하지만 각 학교가 자체적으로 출제하는 특별전형의 영어듣기나 구술면접, 일반전형의 영어듣기 등에서는 이런 기본적인 절차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일부 외고들은 학교 안에 출제장을 설치하고 출제 기간 동안 출제 교사들을 합숙시키지 않은 채 학교 수업까지 병행시키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지역 한 외고 교사는 “출제 교사들을 격리시켜 문제만 내게 하기에는 교사 수가 부족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구술·면접고사장에서 수험생들간 격리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교육부 감사에서 받은 외고도 5곳이었다. 심심치 않게 ‘외고 시험문제 유출설’이 터져나오는 데는 이런 허술한 입시관리도 일조하고 있다. 지난 2004년에는 “구술면접 문제가 한 학원의 모의고사와 똑같았다”며 시험에 떨어진 학부모들이 검찰에 고발하는 소등이 빚어졌다. 지난해 10월 한 외고 특별전형 직후에는 수험생들 사이에서 ‘특정 학원 문제와 똑같았다’ ‘시험감독이 소홀해 커닝이 많이 이루어졌다’는 등 의혹이 제기돼 학교에서 공식 해명을 하기도 했다. 지난해 일반전형에서도 한 외고의 구술면접 문제가 한 학원의 모의고사와 아주 유사하게 나오면서 의혹의 눈초리가 쏠렸다. 해당 학원들은 “워낙 많은 문제들을 연습시키다 보니 비슷한 문제가 나올 뿐”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교육부의 개선 의지는 강해 보이지 않는다. 교육부는 실태조사를 통해 외고 입시관리가 허술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문제 보안을 위해 출제위원 합숙 등 보완이 필요하다”고 개선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시험문제를 사설기관에 맡겨 출제한 학교 등 문제가 있었던 학교 이름이나 출제관리가 미흡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는 않았다. 이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교육부 중등교육정책과 관계자는 “시·도 교육청을 통해 해당 학교를 징계했다”며 “학교 이름을 공개하면 이중처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